[영상] 캄차카반도 8.7 초강진…일본 등 쓰나미 경보·국내 큰 영향 없어

8.7 강진에 ‘위험한 쓰나미’ 경보·긴급 대피 명령
일본 최대 3m…PTWC, 한반도 0.3m 미만 가능성 예상
기상청 “울릉도 수위 조금 올라…큰 영향 없을 것”

 

러시아 캄차카반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강진의 여파로 인근 지역에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러시아와 일본 당국은 ‘위험한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으며, 해안 지역 주민들에게는 긴급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24분께 인구 18만7천명이 있는 러시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남동쪽 약 136㎞ 태평양 해상에서 규모 8.7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8.2㎞로 관측됐다. 인근에서 6.3, 5.8 규모의 여진도 잇달아 발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캄차카 주지사는 텔레그램에 올린 영상에서 “오늘 지진은 심각했고,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한 수준이었다”며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이나 유치원 건물 하나가 파손됐다”고 밝혔다. 

 

30일 일본 도쿄 나리타공항 출국장에 설치된 TV 화면을 통해 현지 쓰나미 관련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독자 제공
30일 일본 도쿄 나리타공항 출국장에 설치된 TV 화면을 통해 현지 쓰나미 관련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독자 제공

 

러시아 타스 통신은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많은 사람들이 신발이나 겉옷도 없이 거리로 뛰쳐나왔다고 보도했다.

 

러시아 사할린 주지사도 세베로쿠릴스크 주민들이 대피 중이라고 전했다. 러시아 당국은 이번 지진으로 최대 4m의 쓰나미가 발생해 주민 대피령을 내리고, 건물 일부에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알래스카 국립 쓰나미 경보 센터는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일부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고, 캘리포니아, 오리건 등 서부 해안 지역과 하와이 일부 지역에 주의보를 발령했다.

 

AKR20250730048100073_02_i_org
일본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주의보(노란색 부분).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 갈무리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는 지진 이후, 러시아와 일본에 3시간 이내에 위험한 쓰나미가 도달할 수 있다며 경보를 발령했다. 한반도 해안에는 0.3m 미만의 제한적인 소규모 쓰나미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일본 기상청은 이날 오전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을 중심으로 태평양 연안 전역에 쓰나미 경보를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의 높이가 최대 3m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면서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는 해안 접근을 피하라”고 당부했다. 특히 고층 건물 상층이나 내륙 고지대로 신속히 대피할 것을 강조했다.

 

한편 기상청은 이번 강진으로 인해 국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날 기상청 관계자는 “러시아 지진 발생 5시간 후인 오후 1시 반을 전후해 울릉도 쪽에 수위가 조금 올라갈 수는 있다”며 “국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지진 규모가 매우 큰 만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캄차카반도는 지각 활동이 활발한 이른바 ‘불의 고리(Ring of Fire)’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어 지진 발생이 잦은 지역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