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주체·주민 간 입장차 ‘팽팽’, 소통 창구 태부족… 진척 없어 주민 “道·市 행정적 관심 절실”
용인 상하동 단독주택단지 주민들이 도시가스 공급 지연으로 불편(경기일보 4월24일자 10면)을 겪는 가운데 공회전만 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지자체의 지원으로 공급 기반을 갖춘 상태지만 주민들의 실질적인 가스 사용 환경 조성이 계속 난항을 겪으면서 매듭을 짓지 못하고 있어서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용인도시계획도로 구성 소1-32 공사가 상하동 614-3번지 일원에서 2023년 3월27일부터 2024년 11월29일까지 진행됐다. 시가 81억5천만원을 들여 총길이 472m, 폭 10m 규모의 도로를 개설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구간에는 경기도 도시가스 공급시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가능한 공급관이 매설됐다. 도·시비가 지원되고 가스 공급 주체인 삼천리도 일부 부담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기반은 갖춰졌지만 단지로 들어가는 각 배관 조성에 대한 협의는 공급 주체인 삼천리와 사용 주체인 각 가구 주민들의 몫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양측 입장이 팽팽히 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당초 주민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내관을 공급관으로 바꿔 사용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삼천리 측이 안전 관리 문제 등을 들며 거부했다.
결국 공급관 시공이 추가로 이뤄져야 하는데 이 상황에 주민들은 가구당 비용 부담이 과도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고 삼천리 측은 해당 부지의 토지사용 승낙이 전제되지 않아 사업 진행 자체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주민은 “애초 도나 시가 실질적으로 가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관심을 더 기울여줘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진척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는 지난달 2일 상하동행정복지센터에서 해당 가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이후에는 삼천리 측 및 지자체와 주민 간 추가로 소통하는 자리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도시가스 미공급지의 경우 도가 주관해 지자체 및 가스 공급 주체(삼천리 등)와 조율을 거쳐 추후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기반을 갖추는 배관망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 단계에서 시와 삼천리 간 사업 방향과 내용 등이 공유되지만 실질적으로 공급 주체와 주민 간 협의는 이뤄지지 않다 보니 한계가 드러났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주체 간 소통 창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천리 관계자는 “토지사용 승낙 문제가 해결돼야 논의가 가능한 상태인 만큼 진행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이 삼천리 측과 협의 중이다. 모든 사업은 주민 편의를 위한 것인 만큼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삼천리 vs 용인 상하동 주민들, 도시가스 갈등에… 공급 지연 장기화
https://kyeonggi.com/article/20250423580268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