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남동발전 분당복합발전소…‘30년 에너지 공급 효자’

1993년 신도시 개발로 발전설비 건립
청정연료 ‘LNG’ 사용, 난방열·전력 생산... 성남 수요 난방열 100% 담당 중추시설
설계수명 다해 노후 설비 교체 계획에... 市 반려, 현대화 장기 지연 ‘불가피’

성남 분당복합발전소 전경. 한국남동발전 제공
성남 분당복합발전소 전경. 한국남동발전 제공

 

주민 민원으로 현대화사업이 막힌 남동발전 분당복합발전소는 수도권 약 20만가구에 난방열·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시설이다. 설계수명 30년이 넘은 발전소는 분당신도시 건설과 함께 성남지역에 필요한 관련 에너지를 공급하며 핵심 기반시설 역할을 담당한다.

 

28일 남동발전에 따르면 분당신도시 개발계획에 따라 수도권에 안정적인 난방열·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1993년 총 922㎿급 발전설비가 들어섰다.

 

남동발전이 보유한 유일한 복합발전소로 이곳에선 청정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해 난방열·전력을 생산한다. 1993년 1블록(설비용량 574㎿·가스터빈 5기, 증기터빈 1기), 1997년 2블록(348㎿·가스터빈 3기, 증기터빈 1기) 설비가 각각 설치됐다. 발전설비 용량은 922㎿, 열 공급 용량은 시간당 697Gcal다.

 

발전소가 지어짐에 따라 지난 30여년간 이곳에서 생산된 난방열은 지역난방공사, 전력은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각각 성남과 수도권에 공급됐다.

 

지난 3년간 분당복합발전소에서 생산된 난방열은 ▲2022년 175만8천Gcal ▲2023년 163만Gcal ▲2024년 164만Gcal 등이다. 34평 아파트 기준으로 약 200가구가 시간당 난방이 가능한 열량이다. 즉, 이곳에서 생산된 난방열은 성남지역 수요의 100%를 담당하는 중추 기반시설인 것이다.

 

또 같은 기간 생산 전력은 ▲2022년 264만4천GWh ▲2023년 228만4천GWh ▲2024년 222만7천GWh로 이는 성남지역 전력의 약 45% 이상 차지한다.

 

남동발전은 설계수명 30년이 넘은 1·2블록 노후 설비를 1천㎿급 고효율·친환경 설비로 교체할 계획이다.

 

정부의 발전설비 수명지침에 복합발전설비의 경우 설계수명을 30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기기를 이루고 있는 각종 기자재의 안정성, 경제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남동발전은 이런 노후 설비를 교체, 성남지역 대기환경 개선과 안정적인 난방열·전력 공급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가 수차례 이어진 민·관·공 협의에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인가를 반려해 수도권 에너지 공급의 한 축을 담당했던 발전소 재탄생은 장기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무조건 반대하는 주민들만 있는 게 아니다. 찬성하는 주민들도 있는 만큼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특별지원사업비를 활용해 주민들이 원하는 복지관 건립을 지원하고 관련 사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 제언 “지자체 경직된 대응, 기반시설 확충 걸림돌”

image
일러스트. 유동수화백

 

성남시가 ‘민원 해결’이라는 명목으로 한국남동발전의 현대화사업 인가를 반려한 것과 관련, 전문가들은 경직된 지자체의 대응이 기반시설 확충의 걸림돌이 됐다고 지적한다.

 

분당신도시와 함께 건립된 분당복합발전소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선 현대화사업이 시급한데 인허가 권한이 있는 지자체가 일부 민원을 이유로 수도권 에너지공급망 확충에 지체를 초래한 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분당복합발전소는 분당신도시 탄생과 함께 30년 이상 지역과 함께해온 핵심 시설”이라며 “이미 설계수명을 넘겨 언제 멈춰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하루빨리 설비 교체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민원 등의 문제로 관할 지자체가 인가를 반려했는데 이로 인해 대규모 난방열·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긴다면 성남시가 오히려 난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분당은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슈가 있는 만큼 지금보다 미래에 더 늘어날 에너지 공급망 확충을 위해서라도 속도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분당신도시의 재건축 대상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 등 총 9만5천여가구다.

 

유 교수는 “분당발전소 현대화는 지역의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발전소 인허가 지연은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주민들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발전소 같은 기반시설은 사업 속도가 성패를 짓는다며 중차한 국가적 과제를 안은 사업이 지연되면 파생되는 문제가 더욱 크다고 말했다. 이에 발전소가 꼭 필요한 시설이라는 인식을 주민들에 강하게 심어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시헌 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는 “발전소나 변전소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민원으로 인허가를 쥔 관할 지자체와의 갈등은 당연히 발생한다”며 “주민 반대나 민원을 받는 지자체의 상황은 이해하지만 모든 책임을 발전소 측에 떠넘기기보다 지자체가 힘을 합쳐 필요성을 강조하고 발전소는 관련 에너지 요금 경감 등의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관련기사 : 

성남시, 분당발전소 인가 불허... 전원 꺼진 ‘현대화사업’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528580314

 

분당복합발전소 인허가 불허에…‘특정 민원 있었나’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528580314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