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외벽 ‘팽창 현상’ 붕괴 경고... 곳곳 시멘트·벽돌 잔해 널브러져 주민들 수리 일정 미확정 ‘발동동’... 市 “보수 기간 LH 임대 주택 입주”
“집에는 언제 들어갈 수 있을지, 차에서 먹고 자는 생활을 언제까지 지속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26일 오전 9시께 수원특례시 장안구 송죽동의 한 다세대주택. 지난 20일 외벽 팽창 현상으로 주민들이 대피(22일자 경기일보 7면)한 지 6일 만에 벽체가 붕괴, 치장벽 안쪽이 훤하게 드러나 있었다.
사고가 발생한 지점은 시멘트 가루와 벽돌 잔해들이 흩어져 있었다. 사전에 안전망을 설치해 대형 사고는 막았지만 한 번에 많은 벽돌이 추락하면서 안전망 일부가 찢겨나갔고, 마주한 주택 일부도 벽돌 파편에 유리창이 깨지는 피해를 입었다.
장안구청은 주택 주변에 ‘위험 출입금지’가 적힌 안전띠를 둘렀고 외부인 통제에 나섰다. 하지만 이따금 대피한 입주민들이 물건을 찾기 위해 들어왔고, 공무원들은 거주 여부를 확인한 뒤 내부 진입을 동행했다.
주민들은 불편하고도 불안한 기색을 보였다. 80대 여성 주민 A씨는 “다행히 딸 집이 근처라 5일째 지내고 있다. 오늘 옷을 가지러 들렀는데, 벽이 아예 무너졌고 공무원들도 언제 다시 집에 들어갈 수 있을지 시원하게 답변하지 않아 답답한 심경”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50대 주민 B씨는 “배달대행업체에서 일하고 있어 이곳에 자동차, 오토바이를 둔 터라 차에서 먹고 자며 생활하고 있다”며 “건물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곧 들이닥칠 장마 전에 보수가 끝날지 신경 쓰이는데 수리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다고만 해 불안하다”고 고개를 저었다.
수원시,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57분 “벽이 무너지는 소리가 들렸다”는 인근 주민 신고가 접수됐다.
시가 사고 직후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 건물 구조가 아닌 외벽 문제를 지목하고 이날 외벽 해체를 계획했는데 당일 새벽 치장벽돌이 무너진 것이다.
시는 2차 안전 진단을 진행하는 대로 소규모 공동주택 보수 지원 예산을 활용해 벽체 해체, 보수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입주민 동의를 얻어 보수 공사에 필요한 견적을 도출하고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유스호스텔에 임시로 머물고 있는 일부 주민에 대해서는 보수 기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대 주택에 머물게 조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창식 한양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정밀 시공을 하면 치장벽돌이 견고하게 맞물려 탈락하는 경우가 없다. 벽 전체가 붕괴한 이번 사안은 최초 공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결과로 보인다”며 “건물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주변 지하철 공사, 재개발 등으로 노후 건물에 악영향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외벽 전체에 대한 재시공이 필요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