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 “지난해 신생아 7천200명… 2년 연속 전국에서 출생아수 1위”

수원, 용인, 고양 대비 2000명 가량↑
기업 인프라 따른 청년 유입이 상승견인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아이를 안고 있다. 화성특례시 제공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아이를 안고 있다. 화성특례시 제공

 

화성의 지난해 신생아가 7천200명으로 2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청년 인구의 꾸준한 증가세에 혼인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신생아 수는 2023년 6천714명보다 500명 이상 증가했으며 전국 기초지자체 중 유일하게 7천명대를 돌파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내 특례시들의 지난해 기준 출생아 수는 수원 6천500여명, 용인 5천200여명, 고양 5천200여명 으로 많게는 2천여명 많다.

 

출생아수는 물론이고 합계출산율에서도 특례시 중 유일하게 1.0명을 넘겼다.

 

지난해 시의 합계출산율은 1.01명으로 전국 평균(0.75명) 및 경기도 평균(0.79명)을 크게 웃돌았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가임 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나타낸 수치다.

 

이번 성과에는 청년 인구 증가가 큰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는 전국적으로 청년인구가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도 최근 5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특례시별 혼인건수 및 출생아수 인포그래픽. 화성특례시 제공
지난해 특례시별 혼인건수 및 출생아수 인포그래픽. 화성특례시 제공

 

세부적으로는 2019년 25만6천101명이었던 청년인구는 지난해 28만91명으로 약 2만3천990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혼인도 늘고 있다. 지난해 청년 1천명당 혼인율은 2.0%로 수원(1.8%), 고양(1.6%), 용인(1.6%) 등보다 높았다.

 

시는 출산율 증가 원인으로 풍부한 일자리와 견고한 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직주근접’ 환경을 꼽고 있다.

 

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전략적인 기업 유치에 집중하며 청년이 일하고 정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산업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왔다.

 

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등 국내 대표 대기업과 경기도내 사업체 수 1위(12만1189개), 제조업체 수 전국 1위(2만6689개)라는 압도적인 기업 인프라는 화성의 직주근접 특성을 더욱 강화시켰다.

 

시 관계자는 “화성은 청년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와 안정적인 정주 환경을 조성해 왔다. 그 결과가 출생아 수 2년 연속 전국 1위라는 성과로 이어졌다고 본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