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金 킹메이커 활약… 경기도 라인 ‘쏠린 눈’ [6·3 RE:빌딩]

전직 도지사 격돌, 道 공직 출신 핵심 인사 대거 포진
‘李 경제 멘토·정책 브레인’ 이한주... 이민우·이우종·김남준 등도 ‘키맨’
‘김문수 입’ 최우영 정책실장 핵심... 노용수·황성태·전문순 등 ‘뒷받침’

image
(왼쪽부터)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전직 경기도지사’의 경쟁 구도로 치러지면서 경기도정의 핵심 인사가 대거 포진한 대선 캠프가 ‘제2의 경기도’로 바뀌고 있다. 이른바 ‘이·김의 경기도 라인’인 셈인데 정책부터 주요 메시지, 전략 등 각 분야의 핵심 ‘킹메이커’가 경기도 공직 출신 인사들로 꾸려지면서 이들의 활약이 국정으로 이어질지 주목받고 있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먼저 이 후보 선대위에는 성남시와 경기도에서 호흡을 맞춘 보좌진그룹이 실무 라인 곳곳에 배치돼 이 후보를 밀착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이 후보와 장시간 인연을 이어가며 업무 스타일부터 철학 등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들로 꼽힌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정책본부장을 맡은 ‘이재명의 경제 멘토이자 정책 브레인’인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은 핵심 인사로 꼽힌다. 이 원장은 이 후보와 1986년 만나 30년 가까이 인연을 유지하며 각종 정책 제안에 자문 역할을 해왔다. 2010년 성남시 모라토리엄 선언, 무상교복·청년배당·산후조리 지원 등의 정책 중심에 섰던 이 원장은 이 후보가 도지사를 지낸 이후 경기도의 싱크탱크인 경기연구원장으로 자리를 옮겨 도정 전반의 정책 지원에 앞장섰다.

 

이 후보가 도지사 시절 임명했던 산하기관장인 이민우 전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과 이우종 전 경기아트센터 사장은 각각 민생안정본부 부본부장, 문화예술위원장을 맡아 도정에서의 경험을 국정 경험으로 이어가기 위해 준비 중이다.

 

경기도에서 홍보 기획을 총괄한 김남준 전 당대표실 정무부실장과 공약 전반을 관리한 김락중 선임비서관도 일정팀 선임팀장, 전략기획팀 선임팀장에 임명돼 ‘킹메이커’로 활약하고 있으며 성남시장 당선 전부터 시민사회단체 활동 등으로 인연을 맺은 김현지 보좌관은 총무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김 후보 주변에도 도지사 시절부터 이어진 경기도 공직 인사가 대거 포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도 대변인을 지낸 최우영 정책실장이 있다. 최 실장은 김 후보와 민주화운동으로 함께 옥고를 치르며 연을 맺었다. 김 지사가 민선 4기 도지사로 당선된 뒤 인수위원회를 시작으로 ‘김 후보의 입’인 대변인을 세 차례나 맡기도 했다.

 

노용수 상황실장도 대표적인 김 후보의 경기도 라인 중 한 사람이다. 민주화운동에서 시작된 인연은 김 후보가 부천지역 국회의원일 때 보좌관과 해당 지역 경기도의원, 도지사 때 비서실장으로 이어졌다. 김 후보의 실무적 지원을 주도했던 노 실장은 현재도 실무라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중이다.

 

이 밖에 황성태 전 황해경제자유구역청장(정책팀장), 전문순 전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총무실장), 박상길 전 경기지사 비서실장(일정팀장), 이상호 전 언론특보(공보메시지 팀장), 홍경의 전 경기관광공사 경영본부장(외곽조직 담당) 등도 김 후보를 돕는 경기 라인으로 꼽힌다.

 

김 후보의 복심을 가장 잘 아는 인물로 국회의원 지역구를 물려받았던 차명진 전 의원과 비서실장을 7년간 지낸 손원희 전 실장은 캠프에서 중책을 맡진 않았지만 안팎에서 지원 사격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기사 : 양당 캠프의 도정 DNA, 정권 이후를 흔들까 [6·3 RE:빌딩]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518580259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