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터뷰] 김현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AI·바이오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도…道 경제 뒷받침”

image
김현곤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경과원 제공

 

“기업들이 경기도 안에서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현장에서 소통하겠습니다.”

 

지난 3월 경기도 경제부지사에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으로 자리를 옮긴 김현곤 원장은 기획재정부 경제 관료 출신으로 명실상부한 경제전문가다. 그런 그가 경과원장에 취임한 후 조직 내부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경제 정책을 만들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기업인의 목소리를 들었고 그들의 애로사항이 경과원 정책에 반영될 수 있게끔 내부의 지원 제도부터 꼼꼼히 점검하고 있다.

 

미래성장산업 육성, 역동적 혁신생태계 조성, 글로벌 경쟁력 강화, 초일류 경영혁신 추진이라는 전략적 방향성을 정하고 이에 걸맞은 지원 정책 발굴에 힘쓰고 있는 김 원장을 만나 그가 꿈꾸는 혁신 성장의 비전을 들어봤다. 다음은 김 원장과의 일문일답.

 

Q. 취임 후 두 달여가 흘렀는데 그동안의 소회는.

A. ‘체감·책임감·확신’. 취임 후 두 달 동안 현장에서 얻은 가장 큰 키워드다. 도내 많은 기업인을 만나며 우리 경제가 처한 현실과 기업인들의 고충을 체감할 수 있었다.

 

기업의 생생한 목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듣고 그 목소리가 곧 경과원의 사업 방향을 결정짓는 나침반이 돼야 한다는 것을 실감했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에서의 인력 양성과 기업 지원을 강화해 경기도의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깊게 느꼈다.

 

민관 협력 생태계를 견고히 구축하고 경과원이 그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위기 속에서도 반드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image
김현곤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경과원 제공

 

Q. 취임식 대신 현장 행보를 먼저 택한 이유가 있다면.

A. 경제가 어려운 지금 취임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글로벌 경제 흐름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라 판단했다. 그래서 취임 첫날 형식적인 행사보다 도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방안을 위한 전략 점검부터 시작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 급변하는 통상 환경 속에서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 다변화 전략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14개국 19개소의 경기비즈니스센터(GBC) 소장들과 화상회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중소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경과원의 핵심 과제다.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이에 기반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는 실행기관의 역할에 집중하겠다.

 

Q. 과거 경제부지사 당시와 지금 경과원장 역할에서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A. 경과원장은 정책 수립에서 실행까지 현장에서 직접 답을 찾는 자리다. 경제부지사는 도정 전체를 조망하며 정책 수립과 큰 방향을 설정하고 조율하는 역할이었다면 경과원장은 그 정책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작동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현장을 더 깊게 보게 됐고 기업이 실제로 겪는 어려움과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를 더욱 세밀하게 들여다보게 됐다. 지금도 경기도가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이 기업 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고 있는지 면밀히 확인하고 있다.

 

앞으로도 기업의 어려움을 현장에서 파악하고 이를 경기도에 체계적으로 피드백해 경과원이 추진하는 지원사업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겠다.

 

Q. 올해 처음으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하는데 기대하는 목표와 방향은.

A. RISE 사업은 경기도 휴머노믹스의 첨병이자 기회수도 실현의 밑거름이 되는 전략사업이다. 대학과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혁신공동체 구축이 목표다.

 

국가적으로도 처음 시도하는 구조적 전환 사업으로 경과원은 이를 전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만들 계획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사람 중심의 투자 확대다.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과 현장 연계형 교육을 강화해 산업현장과 대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성장하는 동반성장 구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단기 성과가 아닌 지속가능한 지역 혁신의 기반이 될 것이다.

 

올해 첫 RISE 사업을 추진하면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시작했음에도 2월 교육부로부터 전국 최우수 시·도로 선정돼 135억원의 국비를 추가 확보했다. 총 65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과 대학·지역사회 상생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경기 G7 미래성장산업 육성, 경기 지역혁신 클러스터 구축, 생애-이음형 평생직업교육 혁신, 지산학 상생·협력 동반성장 실현이라는 4대 프로젝트를 통해 인재-대학-산업-지역이 하나로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를 만들어 RISE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image
김현곤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경과원 제공

 

Q. AI·바이오 산업 육성이 경과원의 미래성장산업 육성이란 전략적 방향과 맞닿아 있는데 구체적 계획이 있다면.

A. AI와 바이오 분야는 인력 양성, 클러스터 구축, 네트워킹이라는 세 개의 톱니바퀴가 유기적으로 균형 있게 맞물려야 한다. AI 분야에서는 판교·고양 중심의 AI캠퍼스를 통해 2천여명이 수료하고 60명의 전문 인재를 배출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고양시에 ‘경기북부AI캠퍼스’를 추가로 열어 도 전역의 AI 인재 양성을 실현할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광교 바이오허브 내 랩스테이션을 통해 14개 딥테크 바이오 스타트업을 육성 중이고 연말까지 24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실험실, 첨단 장비, 컨설팅이 집약된 창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과 스케일업을 지원하고 있다.

 

AI와 바이오라는 양 축을 중심으로 도민이 참여하고, 기업이 성장하고,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

 

Q. 지난해 1조2천억원 규모의 경기도 G-펀드를 조성했는데 활용 방안은.

A. G-펀드는 스타트업 천국을 위한 마중물이다. 선제적 자금 조성과 전략산업 투자, 투자 선순환 구조 생태계를 통해 경기도를 스타트업 천국으로 만들려 한다.

 

당초 2026년까지 1조원을 목표로 했지만 지난해 1조2천억원 조성을 달성했다. 또 전략사업 중심 투자를 통해 지난해에만 AI·바이오·탄소중립 등에 3천968억원 규모의 5개 신규 펀드를 조성했다.

 

조성된 펀드로는 ▲스타트업 4호(175억원) ▲탄소중립 2호(1천250억원) ▲미래성장 4~6호(2천543억원) 등이며 AI, 바이오, 반도체, 로봇,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 및 탄소중립과 규제샌드박스 분야까지 폭넓게 지원하고 있다.

 

G-펀드는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투자-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조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수혜 기업 중 코스닥 상장 25개사, 예비 유니콘 16개사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Q. 마지막으로 도내 기업과 도민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우리는 위기를 기회로 바꿔온 위기 극복 DNA가 있다. 지금의 위기도 반드시 새로운 기회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 특히 지역 기업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해 많은 현장을 찾고 기업인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이를 경과원의 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경과원이 기업에 실질적인 기회와 변화를 제공하는 동반자로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기업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 좋은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위기 극복과 성장의 길에 함께하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