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사법 리스크 vs 金 단일화 갈등... 정치적 안정성·리더십 신뢰 ‘흔들’ 정당보다 인물 중시, 민심 안갯속… ‘경기도지사=무덤’ 오명 벗나 ‘주목’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제21대 대통령선거 본선 후보를 각각 선정함에 따라 헌정사상 최초 ‘경기도지사 출신 맞대결 구도’가 연출되고 있다. 민선 7기 경기도지사를 지낸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민선 4·5기 경기도를 이끈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각각 당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경기도민의 표심을 얻기 위한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사법리스크,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단일화 갈등에 발목이 잡히면서 정치적 안정성과 리더십 신뢰가 동시에 흔들리는 양상이다. 이처럼 양측 모두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대선 정국의 핵심 표밭인 경기도 민심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경기도는 전국 유권자의 4분의 1 이상이 밀집한 인구 최대 지역으로,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터’ 역할을 해 온 대표적 승부처다. 경기도는 외지 유입 인구가 많고, 젊은 층 비중이 높아 유권자 성향이 쉽게 요동치는 지역으로 꼽힌다. 정치권에선 “경기도는 특정 정당이나 이념보다는 정책과 인물에 따라 표심이 바뀌는 경향이 강하다”며 “중도층과 무당층이 비교적 많은 지역이라는 평가를 꾸준히 받아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이 같은 유권자 특성이 현재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맞물리며 ‘탈정치’나 ‘정치 혐오’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흐름은 헌정사상 유례없는 ‘경기도지사 출신 맞대결’이라는 상황과도 묘한 대조를 이룬다. 이재명 후보는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를 거쳐 중앙 정치를 밟은 뒤, 이번 대선 후보 행보에서도 4월28일 후보 확정 뒤 현충원 참배 이후 첫 일정을 SK 하이닉스 이천 캠퍼스에서 시작하며 경기도 정체성을 강조했다.
김문수 후보는 더욱 오랜 기간 경기도정을 이끌었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도정을 이끈 그는 GTX 노선 착수, 산업단지 유치, 일자리 박람회 등을 통해 보수 진영의 행정 경험과 성장 담론을 도정에 녹여낸 리더십으로 평가받는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구도를 두고 ‘도정이 대권 검증 무대가 된 선거’로 조명하고 있다. 과거에는 경기도지사를 두고 ‘대선의 무덤’이라는 말이 회자됐다. 중앙 정치와 연결성이 약하다는 이유와 정무적 체급의 한계 등으로 경기도지사 출신의 후보가 번번이 대선의 높은 벽을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김문수 두 후보가 본선 무대에 올랐다는 사실만으로도, 경기도지사가 더 이상 ‘정치적 종착지’가 아니라 ‘전초기지’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만큼 경기도 위상이 높아졌음을 방증한다.
이번 대선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든, 결국은 경기도 표심을 가장 정확히 이해하고 흡수한 쪽이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도지사가 ‘대선의 무덤’이라는 오명은 이번 대선을 기점으로 ‘정치적 자산’으로 바뀔지 모른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진영 대결이 아니라, 유권자의 인내심과 피로감을 시험하는 국면이 될 수 있다”며 “경기도 유권자들은 누가 더 잘할 것인지보다 누가 덜 불안한지를 먼저 살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