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한강 월선·월북 원천 봉쇄한다”…해병대 제2사단 월선·월북 차단작전 시범 교육

해병대 제2사단 해·강상 기동대 장병들이 작전지역 해상에서 실시된 월선·월북 차단적진 시범교육에서 조업한계선을 이탈한 가상의 월선 선박(좌측 선박)에 대해 차단기동을 실시하고 있다. 해병대 제2사단 제공
해병대 제2사단 해·강상 기동대 장병들이 작전지역 해상에서 실시된 월선·월북 차단적진 시범교육에서 조업한계선을 이탈한 가상의 월선 선박(좌측 선박)에 대해 차단기동을 실시하고 있다. 해병대 제2사단 제공

 

해병대 제2사단은 작전지역 해상 일대에서 작전대비태세 확립을 위한 월선·월북 차단작전 시범 교육을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사단은 “이번 시범식 교육은 최근 기(수)온 상승, 해무일수 증가 등 작전환경 변화에 대비, 다양한 상황별(귀순, 월선·월북 등) 작전계획과 수행절차를 검증하고 부대 장병들의 임무수행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시행됐다”고 설명했다.

 

교육은 사단 내 경계작전부대 대대장 이상 지휘관과 참모, 관련 부대(서) 관계관들이 참가한 가운데 ▲시범식 교육 소개 ▲월선·월북 차단작전 대응절차 행동화 시범 순으로 진행됐다.

 

시범식 교육 소개 단계에서는 적 해상침투, 귀순, 월선·월북 활동이 증가하는 작전 취약 시기를 고려해 교육 목적, 작전운용 개념 및 상황별 조치사항 등을 설명하며 상호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어 대응절차 행동화 시범 단계에서는 실제 선박을 활용, 월선·월북 상황에 대한 단계별 작전수행 절차를 공유하고 작전계획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image
해병대 제2사단 해·강상 기동대 장병들이 작전지역 해상에서 실시된 월선·월북 차단적진 시범교육에서 조업한계선을 이탈한 가상의 월선 선박(우측 선박)에 근접기동을 실시하며 철수를 유도하고 있다. 해병대 제2사단 제공

 

특히 시범식 교육 간 미상 선박의 월북 상황 부여에 따라 경계초소의 최초 관측, 상황 전파 및 추적, 경고방송·사격 등 실시간 대응작전을 통해 상황 관리 절차를 교육했다.

 

동시에 출동명령을 접수한 해·강안 기동대는 현장에서 조업한계선을 이탈한 미상 선박에 접근해 철수를 유도하고 경고·차단구역 진입 시 근접기동과 차단 사격을 펼치며 선박을 퇴거 조치했다.

 

교육 종료 후에는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육 간 식별된 미흡, 보완사항을 바탕으로 경계작전부대에 최적화된 임무수행 방안을 도출하고 완전 작전의 의지를 다지는 등 성과를 더욱 높였다.

 

훈련에 참가한 김태한 대대장(중령)은 “경계작전 취약 시기에 대비해 제반사항을 점검 및 보완하고 작전요원들의 작전 수행능력을 배양하는 기회가 됐다”며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도 조건반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구축해 굳건한 국방태세를 선도하는 해병대가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단은 시범식 교육 이후 해·강상 기동대 작전수행절차 숙달을 위한 주기적인 야외기동훈련를 시행해 작전수행능력을 배양, 배가할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