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동서울대 특임교수·前 삼일고등학교장
오늘날 우리는 디지털 혁명과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교육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해야 하며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교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이에 최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과 역량 강화 지원 방안 등 다양한 디지털, 인공지능과 관련된 정책 자료들이 나오고 있어 학습의 기초로 언어·수리와 디지털 소양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은 학교 현장에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 스마트 기기, 그리고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들은 학생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넓히고 있다.
학생들은 이제 물리적 교실을 넘어 온라인 공간에서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는 교육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지만 AI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을 통해 AI를 활용한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그동안 교사들이 한 교실 안에서 수준이 다른 학생들을 모두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없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디지털 및 인공지능 기술이 학교 교육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지만 유의해야 할 점도 분명 존재한다.
첫째, 디지털 격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 기술 의존성이 지나치게 강화되지 않도록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디지털 도구는 학습을 보조하는 수단일 뿐 그 자체가 학습의 목적이 돼서는 안 된다. 또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와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AI 기술이 인간의 일자리에 미칠 영향, 개인정보 보호 문제, 그리고 AI의 책임 소재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한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은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미래를 대비하는 학교 교육은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기술을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