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가 송전선로 설치를 수용할 수 없다며 반대(경기일보 6일자 5면)를 표명한 가운데 시의회가 범안성시민 대책위를 구성해 강력 대응할 것을 천명하고 나섰다.
시의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입장문을 9일 발표하고 안성시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송전선로 건설을 규탄하며 시민의 삶과 터전을 일방적으로 훼손하는 사업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번 입장문은 국민의힘 안정열 의장과 최호섭·정천식·이중섭·박근배 시의원, 더불어민주당 최승혁·이관실·황윤희 시의원 등 여야를 떠나 모두 한목소리로 송전선로 사업을 규탄했다.
시의회는 타 지역 산단과 SK하이닉스, 삼성 등 일부 대기업을 위한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안성시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것은 안성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라고 규정했다.
또 다른 시·군보다 안성시에 3개 사업지가 포함되고 초고압 송전선로가 도농복합도시인 안성시를 관통, 시민들의 의견이 철저히 배제된 채 사업이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반발했다.
이 같은 시의회의 반발은 제10차 전력기본계획에 따라 345kV 공급을 위한 송전선로가 신원주~동용인, 신중부~신용인, 북천안~신기흥 등으로 노선을 건설하게 된다.
하지만 이들 노선 길이가 약 206㎞로 송전탑만 안성지역에 459기 지지물이 일죽면과 죽산면, 보개면, 서운면, 금광면, 보개면, 고삼면 등 7개 면에 설치, 건설되기 때문이다.
이는 안성지역 15개 읍·면·동 중 절반을 차지하는 상황으로 지역 균형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시민들의 재산권까지 침해될 우려를 낳고 있다.
결국 송전선로 사업은 안성시를 희생양으로 삼아 용인 반도체 일반산단과 삼성의 전력 공급을 위한 포석이며 수도권 내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한 것이라는 게 시의회의 분석이다.
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는 전북지역의 전력을 수도권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 발전을 도외시한 채 기업의 필요와 이득만 생각하는 정부의 조치는 비난받아 마땅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시의회는 ▲345kV 건설사업 즉각 철회 ▲안성시를 희생양으로 삼는 불공정한 전력망 구축 계획 전면 검토 ▲시민들 의견을 배제한 일방적인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 관련기사 : 안성시의회, SK하이닉스·삼성 반도체 등 국가산단 공급 송전로 ‘반대’
https://kyeonggi.com/article/20250305580101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