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의회 연제창 의원이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는 근본적 대책으로 상권활성화재단 설립을 제안하고 나섰다.
연제창 의원은 5일 배포한 기고문에서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경제의 근간이자 지역경제의 기반인 소상공인에 대한 세심하고 정확한 지원이 담보돼야 한다”며 “하지만 소상공인들은 시의 지원정책이 현실성이 결여된 철저한 관 중심의 행정편의적 정책이라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 의원은 “지난해 포천시가 실시한 사회조사에서 포천시민 28.2%가 가장 중요한 현안과제로 경제 활성화를 꼽았고, 27.2%가 산업 활성화를 통한 청년·서민 중심 일자리 확충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며 “실제 지난해 4분기 포천시 소규모 상가 공실률(포천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상권)이 경기도 평균 6.07%, 전국 평균 6.74%를 상회하는 9.42%로, 불과 3년 전인 2021년 같은 상권의 공실률 3.57%와 비교해 전국적으로 공실률이 높을뿐더러 그 증가 폭 역시 크다”고 지적했다.
연 의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정부·구리· 성남·안산시 등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상권활성화재단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성남시 상권활성화재단의 경우 특화거리 활성화사업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통합지원 서비스인 소상공인 희망 팩사업 등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정책을 전담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지난해 상권활성화재단을 설립한 안산시는 전문적인 상권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5년간 생산유발 효과 223억여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144억여원, 고용유발 효과 114.2명으로 분석했다.
연 의원은 “시가 체계적으로 지역상권을 관리하고 소상공인들의 경영안정과 실질적인 소득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라도 조속히 상권활성화재단을 설립해야 한다”며 “백영현 포천시장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과 함께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힌만큼 상권활성화재단 설립에 대한 입장을 조속히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