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직매립 금지... 김포 친환경자원회수센터 조성 ‘난항’

市, 내년 쓰레기 직매립 금지 앞두고 소각장 최종 후보지로 대벽리 선정
부지확보 위한 농지협의 최대 난제... 경기도·농식품부, 농지전용 부정적
市 “민간 소각시설 찾기 어려움 예상”

김포시 전경. 김포시 제공
김포시 전경. 김포시 제공

 

김포시가 추진 중인 친환경자원회수센터(이하 광역소각장) 조성이 차질을 빚고 있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한 농지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어서다. 내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소각장 확보가 시급한 가운데 복병을 만난 셈이다.

 

5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6차 광역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를 열어 후보지 세 곳 중 대곶면 대벽리 797번지 일원 부지 6만3천500여㎡를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

 

시는 상반기 중 예정지를 고시한 뒤 설계 절차에 들어가 토지 보상과 문화재 지표조사, 환경영향평가, 기본·실시설계를 거친 뒤 2027년 착공해 2030년 준공할 계획이다.

 

국비 50%, 도비 15%, 시비(김포·고양) 35% 등의 구성비로 4천여억원을 들여 소각장을 짓고 인근 주민들을 위한 편의시설도 조성할 방침인 가운데 생활폐기물은 김포시 350t, 고양시 150t 등 하루 500t을 처리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부지가 농업진흥지역(절대농지)으로 경기도 및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모두 농지전용에 부정적이다.

 

김포시가 2기 신도시를 계획하면서 상당 부분 농지가 포함돼 시가 보유해야 할 농지를 이미 잠식, 농업진흥지역을 전용할 면적을 초과했다는 게 경기도와 농식품부의 입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당장 내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직매립이 금지돼 민간 소각시설을 찾아 소각 처리에 나서야 할 형편이어서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하지만 농지 협의가 최대 난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지역의 생활폐기물 하루 발생량은 220여t으로 이 중 한강신도시에서 발생하는 60여t은 마산동 소각장, 15~20t은 파주시 소각장, 140여t은 수도권매립지에서 각각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각장 확보가 시급한 이유다.

 

시는 정부의 내년 생활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직매립의 전면 금지 조치에 따라 고양시와 하루 500t 처리 규모의 광역소각장 건립을 추진키로 하고 2021년부터 후보지 공모에 나서 2023년 3월 대곶면 대벽리 797번지 일원, 대벽리 690-61번지 일원, 양촌읍 학운리 915번지 일원 등 세 곳을 후보지로 선정했다.

 

이어 입지선정위를 꾸리고 타당성 조사 용역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등 1년여간 입지 선정에 필요한 용역을 거쳐 ‘대벽리 797 일원’ 부지를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부터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해온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민간 소각시설을 찾아야 할 형편이어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