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민축구단, ‘임원진’ 끊지 못해 ‘보조금’ 끊겼다

市, 보조금 지원 중지 공식화
기한 내 임원진 사퇴 불응에 통고
年 운영비 20억↑ 자체 조달 필요
지역 축구계 “축구단 해체 불가피”
임원진 “내부 의견 조율 못해 지연”

image
파주시민축구단원들이 경기에서 승리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일보DB

 

파주시가 이사의 기부금 일부 횡령 의혹이 불거져 경찰 수사를 받는 파주시민축구단(경기일보 13일자 10면)의 보조금 지원 중지를 공식 통고했다.

 

이에 따라 시민축구단은 한 해 수십억원을 자체 조달해 운영해야 하는데 지역 축구계에선 “쉽지 않은 일이다. 축구단 해체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어 법인화 출범 2년 만에 최악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시는 “시민축구단 사무국에 지난달 24일 보조금 중지 사전 고지에 이어 그동안 지원해 온 보조금 지급 중지를 지난 14일 오후 6시 공식 통고했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K3리그에 소속된 시민축구단 운영을 위해 해마다 보조금 20여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운영 중인 파주시민축구단은 지난해 7월 법인화로 출범, 구단주는 파주시장이다.

 

시 관계자는 “시는 투명하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시민축구단에 지속적으로 제시한 바 있으며 정상화를 위해서 임원진 사퇴를 촉구했다”며 “그러나 임원진이 응하지 않아 보조금 지원 중단을 공문으로 공식 통고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 12일 이사가 기부금 일부 횡령 의혹 등이 불거져 경찰 수사를 받는 시민축구단의 정상화를 위해 이사장(단장) 등 임원진 5명에 대해 지난 14일 오후 2시까지 전원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시의 보조금 지원이 중단되면 시민축구단은 조합원을 모집해 독립적으로 운영에 들어갈 수 있지만 연간 운영비가 20억원이 넘어 거액을 마련해 독자적으로 축구단을 운영하기는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지역 축구계에선 “최악의 경우 해체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민축구단 임원진은 자신들이 내정한 A감독의 1년 임기 보장을 요구하는 조건부 사퇴 의사를 구두로 밝히고 있다 . 하지만 시는 “사퇴 촉구 시점인 지난 14일 이후 이틀이 지난 16일 현재까지도 임원진 사퇴서가 접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시민축구단 임원진은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단장과 이사, 감사 등과 내부 의견 조율이 안돼 시가 요구한 사퇴 시기를 못 지켰다”며 “시가 A감독을 승인해 어린 선수들을 계속 육성하도록 전향적으로 배려해 달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는 “시민축구단 임원진이 구단주(파주시장)를 면담하는 자리에서 사퇴하겠다고 하고 있으나 이미 사퇴시기를 어겨 늦었다”며 보조금 지원 중단 조치가 번복되지 않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파주시민축구단은 지난 2012년 창단했지만 법인화 출범은 올해로 2년째다. 현재 선수 6명이 정식 계약을 맺었으나 시민축구단의 내홍으로 20여명은 아직 계약 전이다. 지난해까지 K3리그에 참가해 선전하고 있다.

 

● 관련기사 : '횡령 의혹' 불거진 시민축구단... 파주시, 임원 전원사퇴 촉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212580238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