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업진흥원 2025년 산촌활력 특화사업 공모…지역경제 활력 기대

산촌활력 특화사업에 선정돼 성공한 사례. 한국임업진흥원 제공
산촌활력 특화사업에 선정돼 성공한 사례. 한국임업진흥원 제공

 

한국임업진흥원이 산촌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2025년 산촌활력 특화사업’ 대상지 공모를 오는 24일까지 진행한다.

 

이 사업은 산촌 자원의 활용을 통해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민간 기업과 연계하여 지역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산촌은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자원의 가치를 보유한 중요한 지역이지만,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적 활력이 갈수록 줄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산촌은 국유림과 공유림의 70% 이상이 분포한 국가적 자산”이라며 “산림자원과 관광, 임산물 가공·유통 등을 활용해 산촌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해당 시·군·구가 신청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산촌지역 8곳을 선정해 선정된 지역에는 국비 100%로 산촌지역 1곳당 7천여만원이 지원되며 사업추진 이후 성과평가를 통해 추가 지원도 검토된다.

 

사업의 주요 지원 분야는 ▲산촌 관광 활성화 ▲산림 자원 활용 ▲비즈니스 모델 구축 ▲귀산촌 교육 등으로 지역 특색을 살린 새로운 분야의 제안도 가능하다.

 

최무열 원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히 경제적 지원을 넘어 민간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선정된 산촌지역은 컨설팅 전문기관의 지원을 받아 사업 모델 발굴, 브랜드 제작, 마케팅 등 체계적인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업 종료 후에도 지자체 연계를 통해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추가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 결과는 2~3월 중 발표되며 제출 서류는 신청 공문, 사업계획서 등으로 한국임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최무열 원장은 “침체된 산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중요한 계기”라며 “산촌자원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경제·사회적 활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많은 지역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임업진흥원은 이번 사업이 산촌은 물론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며 지속 가능한 산촌 경제의 모델을 구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