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지역 기능저하 우려... 대체단지 지정 필요
정부가 군포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예정지로 1기신도시 재건축 이주택지 공급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해당 공업지역 기능저하 우려로 대체 첨단산단 지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자칫 시범사업 예정지가 산업혁신구역도, 그렇다고 이주택지도 아닌 애매한 단지로 전락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20일 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1기 신도시인 평촌·산본 재건축 추진에 따른 이주주택 부지로 군포 당정동 공업지역 내 옛 유한양행 부지 약 7만8천㎡에 2천200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 부지는 2019년 11월 국토부가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지역으로 혁신 융·복합공간 육성과 노후 공업지역 성장거점으로 개발계획을 밝힌 후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토지 매입을 마치고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에 이어 올해 말 실시계획 승인 등 첨단화 일정이 진행되던 곳이다.
또 이곳은 첨단산업시설과 함께 지원시설로 30%의 주거시설이 계획됐으나 이주주택을 위해 주거시설이 50%로 상향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첨단산업화가 퇴색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당정동 공업지역은 이주택지 등 도시화 추세에 맞춰 토지 용도를 변경하고 다른 지역에 첨단산업단지를 대체 지정해 토지 수요·공급에 맞춘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으로 각각 특화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실제 당정동 공업지역 내 주거밀집지역이던 벌터·마벨지구를 2016년 주거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한 후 부곡동에 대체 공업지역이 조성되며 군포첨단산업단지가 들어서 지역 경제발전, 일자리 제공 등 주민과 함께하는 첨단산업단지로 자리잡고 있다.
기업인 A씨는 “시범사업용지에 지원시설 기능의 주거시설이 아닌 공급량을 늘려 추가 이주주택 공급은 첨단산단도 주거단지도 아닌 애매한 단지가 되고 만다”며 “차라리 공업과 주거기능을 분리한 별도의 대체용지 지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사업 추진중 국토부의 이주주택계획 발표로 향후 국토부 및 LH 등과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