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영농취약계층 대상 농작업 대행서비스 ‘순항’…신청도 3배↑

농업인이 밭에서 트랙터로 농작업 대행서비스를 하고 있다. 경기일보DB
농업인이 밭에서 트랙터로 농작업 대행서비스를 하고 있다. 경기일보DB

 

“어려운 분들의 농사를 대신 지어 드리겠습니다.”

 

양평군이 민선 8기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영농취약계층 대상 농작업 대행서비스가 순항하고 있다.

 

밭 로터리 작업, 쟁기 작업, 논둑 제초 작업 등과 관련해 농업인들의 신청이 3배로 늘어가고 있어서다

 

16일 군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적기에 영농이 어려운 70세 이상 고령 농업인, 여성 농업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신청받아 밭 로터리 작업(경운·정지)과 쟁기 작업, 논둑 제초 작업 등을 대행하고 있다.

 

농작업 대행 서비스 이용 요금은 실제 작업비용의 20%만 자부담(80% 군 지원)하도록 해 대행 서비스 이용자들의 부담을 낮췄다. 군은 사업 2년 차를 맞아 올해 자부담해야 하는 요금 단가를 더 낮췄다.

 

올해 자부담해야 하는 작업별 이용 요금은 밭 로터리 작업과 쟁기 작업 등의 경우 농지 1천650㎡당 3만9천600원(지난해 4만4천원), 논둑 제초 작업은 농지 400㎡당 2만8천800원(3만2천원) 등이다.

 

농작업 대행 서비스 이용 가능 횟수도 사업 첫해 연간 2회에서 올해는 4회로 늘렸다.

 

대행 서비스 운영 결과 고령 농업인, 여성 농업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모두 만족도가 높고 반응도 좋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높은 만족도로 서비스 이용 신청이 지난 3월부터 지난 13일까지 283건 접수돼 지난해 동기(100건)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원하는 농업인은 오는 10월 말까지 양평군 농기계임대사업소 농업기계팀으로 신청하면 된다.

 

양평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사업 첫해인 지난해(3~10월) 모두 182건의 신청을 받아 대행 서비스를 제공했는데 올해는 5월까지 신청 건이 300건 가까이 된다”며 “이용료를 낮추고 사업 홍보를 강화해서인지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기준 양평군의 65세 이상 인구는 3만7천827명으로 전체 인구(12만5천981명)의 30.0%를 차지했다. 2022년 3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7.1%였는데 2년 새 2.9%포인트 늘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