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유입으로 오염된 평택시 관리천(경기일보 12일자 6면) 정화를 마치기까지 보름 가량 더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15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0일부터 이날까지 차량 137대를 투입해 오염수 총 2천700여t을 처리했다고 발표했다.
또 전날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생태 독성 검사 결과 공공 하·폐수처리시설에 반입해 처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아 평택과 화성 지역 시설 8곳에서 오염수를 처리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하천수와 함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의 수질도 검사할 계획이며 지하수를 이용하는 주변 농가를 고려해 지하수 수질 전수 검사를 할 예정이다.
이 기간 농업용수는 살수차 등을 이용해 지원하고 농업기술센터에 피해 신고 창구를 개설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생태 독성 시험 등을 거친 만큼 경기도 내 각 지자체의 공공 하·폐수처리시설에서도 오염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시는 전날 정부와 경기도 등에 사고가 발생한 청북읍과 오성면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복구 비용의 최대 8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
시에 따르면 현재 처리해야 할 오염수는 3만~7만t으로 추정 중이다. 변수가 없다면 오염수를 모두 처리할 때까지 보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전문가를 투입해 토양 검사로 오염여부를 확인한 뒤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정장선 시장은 “화성지역은 생태 독성이 강해 전문업체가 처리해야 하나 평택지역은 검사 결과 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기도 전역의 시설로 분산시켜 처리할 예정”이라며 “현재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해 운반할 차량이 시급해 경기도 전역에 이를 공급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차량 확보가 원활히 이뤄진다면 열흘에서 보름이면 오염수를 모두 빼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주민 불안 해소를 위해선 가능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