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미끄럼방지 포장도로…‘눈만 맞으면’ 돌변 사고 주의 [현장, 그곳&]

도내 벗겨지고 갈라진 노후 도로, 마찰력 감소… 제 기능 못해 위험
결빙 사고 다발지 집중 관리 필요...지자체 “매년 하자 보수 작업중”

image
9일 오전 군포시 대야동의 한 어린이집 인근 미끄럼방지 포장도로가 갈라지고 마모돼 겨울철 빙판길 사고 등 안전사고 위험이 우려된다. 황아현기자

 

“미끄럼방지 포장도로가 아니라 미끄럼유도 포장도로라는 게 맞는 거 같네요.”

 

9일 오전 11시께 군포시 대야동의 한 어린이집 인근 미끄럼방지 포장도로. 일부 구간이 붉은색 페인트가 벗겨져 있어 일반 아스팔트 도로색인 회색빛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갈라진 포장재 사이로 눈이 녹아 수막이 생기면서 차들이 속도를 줄이면서 주행했다. 인근 주민 최순정씨(51·여)는 “이 근처는 내리막길이 많고, 어린이집까지 있어 눈이 오는 날에는 혹시라도 사고가 나지 않을까 항상 조바심이 난다”며 “다 벗겨져서 보이지도 않는 미끄럼방지 포장도로가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고 고개를 가로 저었다.

 

같은 날 수원시 장안구 금당로의 미끄럼방지 포장도로 역시 마찬가지. 경사가 심한 120여m 구간에 미끄럼방지 포장재가 붉게 깔려 있었지만, 깨지고 갈라져 있어 일반 아스팔트 도로와 다를 것이 없는 모습이었다. 더욱이 지속적인 타이어 마찰로 인해 포장재 표면이 닳아 매끄러운 상태였다.

 

경기지역에 차량의 미끄럼방지를 위해 설치한 미끄럼방지 포장도로가 노후화된 상태로 방치되면서 제 기능을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틀간 경기지역에 내린 눈으로 인해 도로 곳곳에 살얼음이 생기면서 빙판길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날 도로교통공단 등에 따르면 미끄럼방지 포장은 차량과 도로 간의 마찰을 유발해 차량의 속도를 자연스럽게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지자체는 주로 선형 불량구간, 교차로 진입부, 긴 내리막 구간 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구간에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설치한다.

 

하지만 관리가 되지 않아 표면이 닳아 없어진 미끄럼방지 포장도로는 마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결빙 교통사고에 훨씬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심재익 한국교통연구원 교통공학박사는 “미끄럼방지 시설의 주요 기능은 마찰계수를 높여 제동거리를 짧게 만들어주는 것인데, 마모된 상태로 지속된다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며 “지자체 등이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결빙 교통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만큼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매년 구역을 나눠 미끄럼방지 포장도로에 대한 점검을 한 후 균열이 생기거나 도색이 벗겨진 곳을 중심으로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노후화된 부분이 발견된 곳에 대해선 조속히 보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발생한 ‘결빙 교통사고’의 76%가 12~1월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결빙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보다 치사율이 약 1.5배 높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