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는 지난해 ‘안산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입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출입국·이민관리청(이민청) 유치에 나섰다.
하지만 시의회는 이민청 설치를 위한 건의안 발의문제를 놓고 여·야가 갈등을 빚는 등 시간을 허비하며 해를 넘겼다.
이 때문에 시의회는 집행부가 추진하는 사안에 발목을 잡았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앞서 시의회 국민의힘 현옥순 의원이 이민청 설치촉구 결의안 발의 건의(안)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민주당이 정식으로 상정되지 않은 건의(안)이라며 제동을 걸었다.
시는 그동안 전국 최초 외국인 전담기구 설치, 국내 유일 다문화특구 지정, 아시아 두번째 유럽평의회 세계상호문화도시 지정 등을 시행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시의회는 결의안 발표를 어느 당 소속 의원이 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으며 허송세월만 보냈다.
이런 가운데, 타 지자체들은 앞다퉈 건의(안)를 채택, 법무부에 전달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안산시의회가 중요한 사안을 놓고 갈등을 빚은 사례는 또 있다.
지난 2010년 개회된 제174회 임시회에서 무상급식조례(안)를 놓고서다.
민주당 A의원과 국민참여당 B의원이 유사한 ‘무상급식지원조례(안)’를 3분 간격으로 의회 사무국에 접수했다.
B의원은 “집행부 검토에 앞서 A의원에게 자문형식으로 한부를 건네 A의원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접수했다”고 주장했다. A의원은 “무상급식과 관련 다양한 활동을 해왔고 학부모 등으로부터 의견을 듣고 준비해 왔다”는 해명을 내놨다.
결국 해당 상임위는 B의원 손을 들어줬으나 본회에서 의석수가 많은 민주당 의원들이 A의원의 조례안을 상정한 뒤 강행 처리했다.
그리고 13년이 흐른 지금 비슷한 행태가 발생했다.
시는 이민청 유치를 위해 어떤 심경으로 시의회의 개회를 기다리고 있을까.
이민청 유치에 여야가 따로 없음을 간과해선 안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