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안전 위협… 유지·보수 작업 시급 목소리 불법유턴·역주행 등으로 도내 도로 곳곳 훼손 지자체 “인력 부족, 복구 늦어질 수밖에 없어”
“중앙분리대가 파손된 지가 언제인데 저렇게 방치해두니 사람들이 늘상 무단횡단을 합니다.”
15일 오전 9시께 수원특례시 팔달구 고화로 인근. 도로 위에 설치된 중앙분리대 일부 구간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 중앙분리대의 30m가량이 하단부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고, 부서진 부위에는 위험 표시를 알리는 얇은 테이프가 아슬아슬하게 걸려있었다. 인근에 있는 횡단보도 파란불이 깜빡이자 한 시민은 중앙분리대 사이로 아무렇지 않게 무단횡단을 하기도 했다.
인근 주민 김주원씨(28)는 “매일 이곳 횡단보도를 건너가는 데, 한참 전부터 중앙분리대가 훼손돼 있었다”며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사이에 거리가 있어 시민들이 자주 무단횡단을 하는 곳인데, 왜 보수작업을 안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같은 날 오후 안양시 만양구 안양동 일대도 상황은 마찬가지. 왕복 6차선 도로를 따라 ‘무단횡단 금지’라는 문구가 적힌 중앙분리대가 끝없이 이어져 있었다. 하지만 곳곳의 중앙분리대가 끊겨 있어 시민들은 경고 문구에도 아랑곳 없이 무단횡단을 하는 모습이었다.
경기도내 도로 곳곳에 설치된 중앙분리대가 파손된 채로 방치돼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무단횡단 등을 예방하기 위한 중앙분리대가 파손된 채 방치되면서 무단횡단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이날 도로교통공단 등에 따르면 중앙분리대는 가로 2.5m, 높이 1.2m의 기둥 사이에 가로 막대를 이은 울타리 형태로, 보행자의 무단횡단이 잦아 교통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되는 구간 등에 설치한다.
하지만 불법유턴과 역주행 등으로 파손된 중앙분리대를 행정당국이 제때 관리하지 않으면서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담당 지자체는 부족한 인력 등을 이유로 민원이 접수되면 정비에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일주일에 한 번은 도로의 상황을 확인하며 수리 및 보수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도 “인력의 한계로 복구 작업이 더딜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조준한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파손된 중앙분리대의 복구 작업이 늦어질수록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부추길 수 있다”며 “시민 안전을 위해 각 지자체는 유지·보수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경기남·북부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도내 무단횡단 교통사고(횡단보도 외 보행자 사고) 건수는 총 7천577건으로, 매년 평균 1천5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같은 기간 무단횡단 사고로 304명이 숨졌고, 7천436명이 다쳤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