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악몽’ 도내 농가 불안감 가을철 구제역·AI 등 방역 분주 道 “정부와 전염병별 총력 대응”
“가축 전염병 때문에 추석을 앞두고도 두 발 뻗고 자질 못합니다.”
25일 오전 10시께 화성시 향남읍 1천200여평 규모 양계농장. 지난해 11월 H5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돼 닭 2만4천여마리를 살처분해 2억여원의 손실을 본 전력이 있는 만큼 어느 때보다 외부인 출입 통제가 삼엄했다. ‘AI 차단방역, 출입금지’ 등이라고 적힌 10여개의 현수막과 안내판이 사방에 진을 치고 있었다. ‘억대 손실’이라는 고통이 채 가시기도 전 또다시 악몽이 재현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만들어 낸 풍경이다.
농장 관리인 A씨는 “가을철인 데다 추석 연휴 동안 유동인구가 늘 수밖에 없어 AI 전염 우려기 크다”며 “최대한 방역에 신경 쓰고 있지만, 언제 또 확진될지 몰라 두렵다”고 하소연했다.
비슷한 시각 평택시 청북읍 2천500여평 규모 한우농장도 축사 내·외부를 소독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는 데 여념이 없는 모습이었다. 한우 400여마리를 사육 중인 이곳 역시 2009년 구제역(FMD)으로 한 차례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농장주인 김순용씨(63)는 눈물을 훔치며 자식과도 같던 한우 180여마리를 땅 속에 묻었던 기억이 아직까지 생생하다. 김씨는 “추석을 앞두고 구제역이 터질까 불안하다”며 “명절 기간에도 긴장을 늦출 수 없어 예방접종과 소독에 더 신경 쓰고 있다”고 고개를 휘저었다.
경기지역 축산농가들이 가을철 가축 전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로 수심에 잠기고 있다. 더욱이 추석 기간 유동인구 급증에 따라 방역에 빈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면서 농심은 타들어가는 모양새다.
이날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축산농가는 1만3천103곳(가축 5천98만6천348마리)이다. 한육우 6천725곳(30만9천769마리), 젖소 2천522곳(15만5천49마리), 돼지 1천73곳(206만4천209마리), 닭 2천783곳(4천845만7천321마리) 등이다.
이런 가운데 대표적인 가축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AI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올해 들어선 4년여 만에 FMD가 재발하기도 했다. 그동안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가축 전염병은 ▲ASF 17건(2019~2023) ▲AI 12건(2022~2023) ▲FMD 61건(2014~2019) 등이다.
이를 두고 도 관계자는 “가축 전염병별로 정부와 함께 총력 대응하고 있다”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