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곳 중 4곳 주둔 여전, 개발 차질 市, 범시민대책위 꾸려 정부 압박
동두천시가 미군기지 반환이 지연되면서 속앓이를 하고 있다.
29일 동두천시에 따르면 시 전체 면적 95.66㎢ 중 42.47%인 40.63㎢가 미군기지(6곳)였지만 이 가운데 23.21㎢가 미군기지의 평택 이전으로 반환됐다.
현재 사용 중인 미군기지는 네 곳으로 캠프 케이시(14.15㎢) 전체와 캠프 호비 일부(3.04㎢), 캠프 모빌 일부(0.16㎢), 캠프 캐슬 일부(0.05㎢) 등 17.40㎢로 시 전체 면적의 18.19%를 차지한다.
지역 주둔 미군기지 여섯 곳 중 네 곳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여전히 미군이 사용 중인 셈이다.
지난 2005년부터 현재까지 반환된 미군기지는 캠프 호비 일부(10.99㎢), 캠프 님블 전체(0.07㎢), 캠프 모빌 일부(0.05㎢), 캠프 캐슬 일부(0.16㎢), 짐볼스 훈련장 전체(11.94㎢) 등으로 전체 미군 공여지의 57%(23.21㎢)에 이른다.
그러나 반환된 23.21㎢ 중 99%인 22.93㎢가 산지여서 대부분 개발이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환된 곳 중 캠프 님블과 캠프 캐슬 등은 군부대와 관사 및 동양대 캠퍼스 등으로 개발된 상태로 경기도일자리재단도 캠프 님블로 옮길 예정이다. 평지로 활용가치가 커 개발 가능성이 큰 곳은 여전히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당초 동두천 미군기지는 모두 2016년까지 반환될 예정이었지만 2014년 10월 ‘2020년 한국군의 화력 능력이 검증될 때’로 반환 시기가 늦춰졌다.
현재는 캠프 케이시에 210화력여단이 주둔하는 데다 캠프 모빌은 미군의 무인기 활주로로 사용되고 캠프 호비에는 순환 병력이 들어와 있는 등 미군기지 반환이 요원하다.
이에 시는 올해 범시민대책위를 꾸리는 등 미군기지를 돌려받기 위해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박형덕 시장은 최근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만나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 반환 시기를 명확히 해줄 것과 캠프 모빌과 캠프 캐슬 잔여 부지 조속한 반환, 지방세 손실분 연간 283억원의 정부 지원, 토지매입비 2천924억원의 주변 지역 사업비 전환 등을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범시민대책위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정부에 미군기지 미반환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