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천400가구 입주, 집단민원 예고 도로 개설·부용천 정비사업 등 차질 金 시장, 급유시설 조속 이전 촉구
캠프 스탠리 반환이 늦어지면서 의정부시의 미래산업 유치와 동부권 개발 차질은 물론 2만5천여 고산지구 입주민들의 헬기 소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의정부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반환을 촉구하고 있는 고산동 일원 245만㎡ 규모의 캠프 스탠리는 지역 내 미군기지 8곳 중 유일하게 아직 반환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18년 초 대부분 병력이 평택으로 철수하고 미8군 종합사격장을 오가는 미군 헬기 중간급유시설과 소수 관리인력만 남아 있다.
국방부가 헬기 중간급유시설 대체부지를 찾아 미군 측과 협의했으나 동의를 받지 못해 다른 대체부지를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
캠프 스탠리 일대는 고산지구 택지와 문화복합단지, 법무타운 등이 진행 중인 부도심으로 동부지역 핵심이다. 토지 이용, 교통시설, 주거환경, 환경보전, 공원녹지계획 등 전체적인 도시공간 구조 차원에서 개발이 이뤄져야 할 상황이다.
하지만 비중이 제일 큰 캠프 스탠리만 제외되면서 여러 부작용이 빚어지고 있다.
고산지구에서 송산로로 연결되는 도로 개설이 캠프 스탠리 탄약고로 선형을 변경해야 하고 미군들이 사용하는 취수탑으로 부용천 정비사업도 차질을 빚기도 했다.
특히 인접한 고산 공공택지는 지난달부터 시작한 2천400여가구 입주를 마지막으로 이달 완료를 앞두고 있어 2만5천여 주민들의 헬기 소음 등에 따른 집단민원까지 예고되고 있다.
실제로 2019년 4월 미군 측이 야간헬기훈련을 진행하면서 고산 민락 일대에 소음 피해가 발생하자 사과하기도 했다.
김민철 국회의원은 국방부 관계자를 만나 “캠프 스탠리를 조속히 반환하고 고산 주민의 헬기 소음과 안전을 위해 최소한 대책으로 야간 헬기 기동 금지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김동근 시장도 지난해 취임 이후 기회 있을 때마다 캠프 스탠리의 조속한 반환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대통령실 관계자, 김기현 국민의 힘 대표, 신범철 국방부 차관 등을 각각 찾아 조속한 반환을 요청하고 대통령의 용단을 촉구했다.
김 시장은 “의정부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삶의 터전을 국가에 내주고 값비싼 희생을 감내해 왔다. 지역 발전을 위해 계획하고 있는 사업들을 진행하도록 캠프 스탠리 헬기급유시설의 조속한 이전 및 반환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