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도마교동 서서울변전소와 주변 송전철탑 등이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예정지 한복판에 위치해 지구계획 수립 시 이전이나 지하화 등이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2일 군포시와 한국전력공사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1년 8월 수도권 주택공급 압력이 커지면서 의왕·군포·안산 586만여㎡에 4만1천세대 규모의 3기 신도시를 추가 예정지로 발표했다.
하지만 해당 공공주택지구 예정지 내 서서울변전소에는 군포·안양·안산 일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부지면적 18만8천여㎡에 특고압 변압기, 송전철탑 23기 등이 위치하고 있다.
해당 공공주택지구 예정지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효율적 주택공급을 위한 곳으로 주거시설과 도시지원시설 등이 서서울변전소 부지를 포함해 개발제한구역 등을 해제하고 들어선다.
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면 서서울변전소의 특고압 변압기와 송전철탑 등으로 인한 전자파 위해성과 건강·주거환경·도시미관 저해 등을 이유로 대규모 민원 발생이 불가피해 지구계획 수립단계부터 이전이나 지하화 등이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고질적 민원이었던 서서울변전소를 출발해 산본시가지 아파트단지와 학교 7곳 옆을 지나던 송전철탑 19기와 송전선로(길이 3.94㎞)도 2015년 지하화가 완료되면서 민원이 잦아 들었다.
군포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수차례에 거쳐 국토교통부와 LH 등에 서서울변전소의 외곽 이전이나 지하화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계획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LH 관계자는 “6월께 공공주택지구 지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지구계획 수립 시 (서서울변전소) 이전이나 옥내화, 지하 매설 등을 한국전력공사 및 군포시 등과 협의한 후 반영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예정지는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승인권자인 국토교통부 등에 의해 지구 지정과 토지이용계획 등이 담길 지구계획 수립 등의 행정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