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장애인복지관(복지관) 정상화를 위한 의정부시민 대책위(대책위)가 복지관 운영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9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복지관이 전면 파업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운영 정상화기미는 없고 이용자들이 불안까지 호소하고 있다며 정상화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복지관을 운영하는 법인이 회계직원의 조합원 자격을 불허하면서 시장 중재안까지 거부, 5년째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다며 수탁자인 시는 법인과 계약을 해지하라고 주장했다.
대책위에는 의정부 풀뿌리시민회의, 진보당 의정부시 위원회 등 지역 시민단체와 정당, 노동단체 등이 참여했다.
복지관 근로자 40여명 중 조합원 17명은 지난 2일부터 전면 파업을 벌이고 있다.
김동근 시장이 지난 1월 복지관을 방문, 회계직원 문제는 2년 후 재논의할 것을 주문했으나 관장이 거절하는 등 복지관이 회계직원의 조합원 가입을 막는 건 투명성을 보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파업으로 운동, 언어, 인지치료 교실과 직업재활 등 일부 프로그램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다.
조합과 복지관 측은 지난 2019년 11월 이후 43차례 머리를 맞댔으나 회계직원의 조합원 가입에 대한 견해차로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박상용 복지관 노동조합장은 “노동자는 시장 중재안을 수용하는데 사용자는 거부하고 있다. 이는 회계투명성의 문제가 아닌가 의혹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나 복지관 사무국장은 “사용자가 거부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시장은 회계직원의 노조 가입은 불가하다는 내용을 이번 협약에 넣고 추후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협의하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이를 거부한 건 조합”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노조와 사측이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도록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2004년 7월 민락동에 3층 연면적 3천여㎡ 규모로 개관한 의정부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위탁 받아 운영 중이다. 연간 30억원 정도를 시로부터 보조받는다. 평생교육, 문화여가, 직업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장애인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