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연수구청 등 민원실 구석에 설치... 작년 544곳, 3년 새 두배 늘렸지만 이용 저조 생활폐기물 분리 처리 제도화 ‘유명무실’... 市 “배출 방법 등 홍보·교육 확대, 참여 유도”
18일 인천 부평구청 1층 민원실. 구에서 폐의약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해 설치한 전용수거함이 텅텅 비어 있었다. 성인의 무릎 높이 보다도 낮고 작은 이 수거함은 민원실 안 외진 구석에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폐의약품 수거함은 민원실 직원들도 잘 모르고 있어 안내받기도 어려운 실정. 민원실 근무 직원에게 폐의약품 수거함의 위치를 물어봤지만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반면 폐건전지·헌태극기 수거함, 플라스틱·병·캔류 분리수거함 등 다른 수거함은 민원실 밖 한 곳에 모여 있어 누구나 쉽게 이용이 가능해 보였다.
같은 날 연수구청에 설치한 폐의약품 수거함도 마찬가지. 청사 한 구석에 놓여져 눈에 잘 띄지도 않을 뿐더러 어렵게 수거함을 찾더라도 알약과 물약, 가루약 등 종류별로 어떻게 버려야 하는 지 등에 대한 안내도 없었다. 이은경씨(32)는 “수거함이 구석에 있어서 한참 찾았다”며 “폐의약품 수거함이 생소해서 어떻게 버리는 지 몰라 가져온 물약과 알약을 통째로 수거함에 버렸다”고 말했다.
인천 곳곳에 설치한 폐의약품 수거함이 시민들 눈에 잘 띄지 않는데다 수거 방법 등에 대한 안내가 없어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
인천시와 구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폐의약품 수거함은 2019년 307개에서 지난해 544개로 3년 만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연간 폐의약품 수거량은 2019년 9천158㎏, 2020년 9천14㎏, 2021년 9천612㎏, 2022년 상반기 4천922㎏으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17년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유해폐기물로 규정하고 폐기 방법 등을 제도화했다.
하지만 인천에선 아직도 폐의약품 수거함의 이용률이 저조하고 이용 방법에 대한 안내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은 폐의약품을 일반 생활쓰레기로 버리거나 하수구로 흘려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약품이 하수구로 흘러 들어가면 토양·수질 오염을 일으켜 생태계가 망가지면서 시민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시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폐의약품 수거에 대한 홍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약사회 관계자는 “약국에서도 폐의약품 수거를 하고 있지만 워낙 이 제도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폐의약품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이 많은 만큼 지자체가 전문가들과 협업 등을 통해 수거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폐의약품 배출 방법 등의 홍보·교육을 확대해 시민들이 많이 참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