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시설 전면 재건축보단 단계적 보수가 더 합리적"
의정부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대화를 놓고 민간투자, 재정사업 방식이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단계적으로 보수하면서 운영하자는 방안이 제시됐다.
김지호 의정부시의원은 지난 6일 의정부시의회 5분 발언에서 민간투자에 의한 전면적인 재건축보다는 시가 단계적 보수를 해가며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투사업을 제안할 때 하수처리시설의 노후화와 고농도 하수 유입,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등을 이유로 들었는데 타당하지 않다고 목소릴 높였다.
우선, 시설 노후화는 제1처리시설만 1987년 완공돼 30년이 초과됐을 뿐 제2, 3 처리시설은 완공된 지 각각 24년, 16년 밖에 안됐는 데도 환경부 공공하수처리시설 노후화 실태용역 내용연수 평가에서 0점을 받고 안전진단평가는 B등급에 구조물평가는 최종 C등급으로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또 가장 노후된 제1처리장의 수질이 2022년 기준 BOD 최고 2.1ppm, 최저 0.7ppm으 로 강화 수질기준 BOD 3.0 ppm 이내로 적합하다는 점을 들었다. 시설을 전면 교체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 사업방식이 손익공유형(BTO-A)으로 민간이 30년간 운영하면서 투자한 2천 6백 억원을 회수하고 30% 이상 손실발생 땐 시 재정으로 지원해 줄 수밖에 없다며 시민의 부담이 큰 이 같은 사업보다는 단계적 보수를 해가며 운영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의정부시 관계자는 “안전진단은 토목구조물 위주로 B등급을 받은 반면 구조물 평가는 기계설비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이라며 “수질도 3시간 평균이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가 중요하다. 4, 5월에도 하루에 3, 4차례 기준을 초과할 정도이고 겨울철에는 처리능력이 더 떨어진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대화 사업을 민투로 할지 재정사업으로 할 지 여부는 전문가 워킹그룹 회의, 주민 공론장 토의 내용 등을 종합해 이달 안으로 결론지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