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헐값 매각 논란 시흥 배곧지구, 남은 R&D 부지 ‘로또’ 쏠린 눈
지역사회 시흥시

헐값 매각 논란 시흥 배곧지구, 남은 R&D 부지 ‘로또’ 쏠린 눈

받기만 하면 땅값 수배 차익… 기업 20여곳 각축전

시흥 경제자유구역인 배곧지구 R&D부지를 놓고 여러 기업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배곧지구 R&D부지 전경. 김형수기자

 

시흥시가 경제자유구역인 배곧지구 R&D부지를 팔면서 땅값을 인근 지역에 비해 턱없이 낮게 책정, 헐값 매각 논란(경기일보 12일자 1면)에 휩싸인 가운데 아직 판매되지 않은 R&D부지를 놓고 여러 기업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해당 부지를 받기만 하면 땅값으로 몇 배의 차익을 얻을 수 있어 로또나 다름없지만 시가 마련한 처분 계획에는 외투기업 등에 조성 원가 및 감정가 등으로 공급하도록 돼 있어 기업들이 군침을 흘리고 있다.

 

15일 시흥시와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시는 경제자유구역인 배곧지구 R&D 1부지 6만3천740㎡와 R&D 3-1부지 7만9천790㎡ 등에 글로벌 첨단 바이오산업도시 구축을 위한 바이오 기업 유치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0월 시를 방문한 글로벌 바이오 기업인 머크사를 유치하기 위해 경기도, 서울대 등과 협력하고 있다. 서울대 시흥캠퍼스의 우수 연구 인력, 인천국제공항이 가까운 지리적 입지, 디지털 등 타 산업과의 유연한 연계 등 바이오 허브에 적절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는 부분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시가 미리 마련한 처분 계획에 따라 이 땅을 판매할 경우 인근 부지에 비해 땅값이 몇 배나 낮게 책정돼 현재 20여곳의 기업이 해당 부지에 입주하기 위해 시에 투자계획서를 제출하는 등 이전투구 양상이다.

 

이에 시는 아직 해당 부지를 분할해 판매할지 아니면 필지별로 판매할지 등 공급 계획 수립이 안 됐다는 입장이다.

 

인근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투자 기업이나 R&D 기업들과 얼마든지 협업을 통해 인위적으로 사업계획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사정이 이렇다 보니 듣기로는 여러 기업이 땅을 사기 위해 투자계획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 다른 부동산컨설팅업체 대표도 “우리 사무실에도 기업들이 찾아와 문의를 많이 하고 있다”면서 “시가 땅값을 시세에 맞게 현실화해 공급해야 특혜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투자계획서를 내면 내부 평가를 거쳐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구조로 일단 공급 계획 수립이 안 됐다”며 “땅값은 경제자유구역 실시계획상 조성 원가 및 감정가로 비율을 맞춰 외투기업에 저렴하게 공급하도록 돼 있다. 외투기업이 아니라고 해서 못 들어오는 건 아니다”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