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조정 결과 중앙환경분쟁조정위 등 “적합” 市, 내년 방향 설정 공론화 거쳐 상반기 결론
김동근 의정부시장이 전면 재검토하는 쓰레기소각장(소각장) 현대화사업이 결국 자일동 이전으로 결론이 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환경부 전략영향평가협의는 물론 중앙환경분쟁조정위도 자일동을 이전의 적지로 본 데다 마땅한 제3의 부지가 없고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면 2, 3년이 걸리는 등 시간·재정적 어려움 때문이다.
26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장암동 소각장을 자일동 현 환경자원센터 내 1만4천870㎡로 이전 신축을 위해 2018년 이전지 입지선정계획을 공고한 뒤 지난 4월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치고 포천· 양주시가 반대하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에 중재를 신청했다.
이와는 별도로 김 시장은 8월부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소각장 현대화사업에 대해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자일동을 비롯해 기존 장암동, 녹양동 우정, 가능동 입석마을 인근 등 후보지 4곳을 대상으로 환경 등 영향 분석을 비롯해 사업추진 방안까지 살피고 있다. 12월 현재까지 모두 7차례 회의를 열었다. 내년부터는 방향을 설정해 공론화를 거쳐 상반기 결론을 낼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중앙환경분쟁조정위는 지난달 28일 의정부시의 소각장 자일동 이전 분쟁조정 결과를 통보해 왔다.
의정부 자원회수시설(소각장) 현대화사업 입지는 제1후보(자일동)가 적합하다는 것이다. 후보지 4곳을 살피고 내린 결론이다. 그러면서 의정부시는 문제가 된 광릉숲을 모니터링해 대책을 수립하고 소각장 운영 시 영향권(300m 이내) 저감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의정부시의 자일동 이전에 손을 들어준 셈이다.
실제로 장암동 기존 부지는 환경부 소각장 설치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데다 증설이 어렵고 다른 후보지는 사유지여서 토지 매입 등의 어려움으로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해 시간적, 재정적 이유로 3, 4년은 더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환경부가 환경시설은 접적화를 권유하고 있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 재활용 선별장 등이 있는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부지가 적합하다는 것이다.
TF도 결국 자일동 이전으로 가닥을 잡을 수밖에 없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TF가 공론화를 거쳐 자일동 이전으로 결론을 낼 땐 의정부시 소각장 현대화사업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소각장은 건설하는 데만 40~60개월 걸린다. 2025년이면 수도권매립장이용도 종료된다. 이전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 2001년 준공한 200t 처리 규모의 현 소각장은 노후하고 고발열 폐기물 반입 증가로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의정부시는 지난 2018년부터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부지에 하루 220t 처리 규모의 소각장 현대화사업을 추진해 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