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이 시내버스 공영제 도입을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연기하고 장기과제로 검토키로 했다.
12일 가평군에 따르면 가평은 면적이 843.6㎢로 서울의 1.4배이지만 인구가 6만2천명에 그쳐 시내버스 적자 노선들이 많다.
실제 시내버스 운송 수지는 갈수록 악화해 2020년 75억6천만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군은 업체에 67억9천만원을 보조했다.
이런 가운데 군은 지난해 시내버스 공영제를 추진하면서 내년 1월 도입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최근 재정에 부담이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내버스 업체 인수비가 80억~90억원에 운영비는 매년 80억원 안팎으로 각각 추산돼서다.
운영방식도 당초 직영과 시설관리공단 위탁 등 두가지를 검토했으나 아예 교통공사 같은 별도 기관을 설립해야 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따라 군은 공영제 도입을 미루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공영제를 장기과제로 분류해 더 논의하고 그동안 대중교통 불편을 줄이고자 다양한 형태의 교통수단을 도입할 것”이라며 “우선 공영터미널을 조성하고자 가평 터미널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 시내버스는 민영제, 준공영제, 공영제 등 3개 유형으로 운영된다.
현재 가평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시내버스를 민영제로 운영 중이다. 공영제는 강원 정선군과 전남 신안군 등이 대표적이다.
가평=신상운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