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물폭탄에 속수무책...보금자리 잃은 수재민 ‘망연자실’ 경기지역 이틀째 기록적인 폭우...광명·양평·광주 등 곳곳 피해 속출
“하늘에 구멍이 난 건지... 토사가 쓸려 내려오는 게 시간 문제일 거라는 불길한 생각이 듭니다”
수도권에 쏟아진 역대급 폭우로 경기지역 곳곳에서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속출한 가운데 추가로 예보된 폭우에 야산 인근 주민들의 산사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9일 오전 광명 종합사회복지관. 복지관 6층에 위치한 다목적체육관에는 간밤에 내린 폭우로 인해 발생한 침수와 산사태로 ‘보금자리’를 잃은 수재민들이 모여 있었다. 체육관 안에는 임시 텐트가 약 24개 설치된 상태였고, 입을 옷 하나 챙기지 못한 채 뛰쳐 나온 수재민들은 광명시와 적십자사가 가져다 준 죽이나 라면 등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었다. 최용진씨(67)는 “어제 오후 10시부터 황토색 흙이 집으로 밀려 들어오기 시작했다”며 “잠시 짬을 내 집을 찾았더니 집 안이 온통 토사로 범벅이 돼 있는 상황”이라며 고개를 떨궜다.
양평에서도 산사태 공포는 예외가 아니었다. 이날 새벽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에선 산비탈에 들어서려다 공사가 멈춘 단독주택 개발 구역의 토사가 유출됐다. 비탈 아래 마을 주민들은 그대로 산사태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 주민 A씨는 “지금 생각해 보면 애초에 산사태 위험이 큰데 경사가 가파른 곳에 주택 허가를 내준 게 잘못 아니냐”며 울분을 토했다.
군포시 산본동의 빌라 단지에서도 평소 자연의 풍경으로 여겼던 인근 산은 언제 재앙을 가져다 줄지 모르는 불길한 대상이 됐다. 주민 김형우씨(67)는 빌라 뒤쪽과 마주한 5m 높이의 산 비탈을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산비탈 가운데 수로에는 빗물이 폭포처럼 휘몰아쳐 내려오고 있었지만 토사가 흘러내려오면 이를 막아줄 방어막은 고작 얇은 철제 울타리뿐이었다. 그는 “밤새 산에서 세차게 물이 흘러와 한숨도 편히 못 잤다”며 “비가 더 온다는 데 행여 산사태가 나는 건 아닌가 걱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광주시 오포읍의 한 아파트 단지의 상황은 이보다 더 열악했다. 인근 야산과 접해 있는 아파트 단지 뒤쪽은 기본적인 울타리조차 설치돼 있지 않은 채 끊임없이 쏟아지는 폭우를 그대로 버텨내고 있었다. 이 때문에 지난밤 일부 주민들은 산사태 우려에 2시간 간격으로 토사 유실 여부를 확인하느라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다.
부천시가 ‘산사태 취약지구’로 지정한 소사본동 일대에서도 주민들의 우려는 계속됐다. 이 구역 안에는 주택가와 진영고 앞 사찰의 경사지 등이 함께 포함돼 있는 데다 토사 보다는 돌이나 바위가 많아 산사태 시 더 큰 인명피해가 우려됐다. 주민 B씨(63)는 “어제는 너무 비가 많이 와 돌이 떨어져 굴러 내려오면 어떡하나 걱정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8일 0시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도내 누적 강수량은 여주 산북 419.5㎜, 양평 408㎜, 광명 390㎜, 광주 33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10일에도 수도권 ‘물폭탄’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예상 강수량은 경기 남부·인천 등은 100~200㎜(많은 곳은 350㎜ 이상), 경기 북부 등은 50~100㎜(많은 곳은 200㎜ 이상)이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