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견성암 지장시왕도 ‘道 유형문화재’ 됐다

市, 화기 온전하게 남아… 인물묘사 등 뛰어난 기량
‘석가삼존십육나한도·독성도’ 포함 불화 3점 지정

남양주 견성암 석가삼존십육나한도. 남양주시 제공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견성암 지장시왕도 등 불화 3점이 경기도 유형문화재 등으로 지정됐다.

3일 남양주시에 따르면 진건읍 송능리 견성암 지장시왕도와 석가삼존십육나한도 등이 경기도문화재 보호조례를 토대로 지정심의(확정)가 완료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독성도도 문화재자료로 등록됐다.

견성암에서 문화재가 등록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장시왕도는 화기가 온전하게 남아있어 제작자와 제작 시기, 시주자 등을 알 수 있고 인물묘사의 세밀하고 능숙한 필선과 적색, 녹색 등을 주조로 한 안정된 색감 등은 조성 화원의 뛰어난 기량을 보여준다.

선악동자를 화면 중앙 하단에 독립적으로 따로 그린 형식으로 19세기 서울·경기지역에서 조성된 지장시왕도의 새로운 도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석가삼존십육나한도는 석가삼존과 십육나한 등에 사자가 포함된 독특한 도상을 보여주는 불화로 석가삼존십육나한도에서 새로운 도상이 창출됐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미가 크다.

19세기 후반 불화지만 명료한 필선과 섬세하고 뛰어난 묘사력을 보여주고 있는 완성도 있는 불화라는 점에서 유형문화재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

독성도는 화기를 통해 제작자, 시기, 인연 등을 명확히 알 수 있고 19세기 말과 20세기 전반 활동한 금호약호의 초기 화풍을 알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 관계자는 “불화의 경우 보존이 예민, 견성암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보존방향을 정하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양주=이대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