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근 의정부시장 당선인이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현대화 사업의 원점 재검토를 공약한 가운데 어떤 방향으로 가닥이 잡힐지 관심이다.
19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자일동 소각장 이전지 입지선정계획 공고로 본격적으로 추진된 장암동 소각장 현대화사업은 지난 4월 전략환경영향평가협의를 마치고 중앙분쟁조정위에 중재를 신청한 상태다.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이 소각장 입지로 환경상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통보해 연말 안으로 중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경우 내년 중 환경영향평가와 실시계획을 거쳐 2025년엔 공사에 나서 2027년엔 마칠 수 있다.
하지만 이전 예정지인 자일동 주민과 배후 영향권의 민락주민이 반대하면서 이를 극복 하는 것이 숙제다.
소각장 자일동 이전은 지난 6·1지방선거의 주요현안이 됐고 김동근 당선인은 전면 취소나 백지화는 아니지만 원점 재검토를 공약했다. 시와 시민을 위해 구체적인 실익을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원점 재검토 때 선택할 방향은 세 가지 정도다. 자일동 이전을 그대로 추진하거나 다른 이전지를 찾던지 장암동 현시설 부지에 신 증축하는 방안 등이다.
이 중 다른 이전지는 의정부시가 전략환경영향평가 때 한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한 녹양 버들개 마을, 입석마을 등으로 소각장이 들어서도 환경상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 곳이다. 이 곳 역시 자일동과 마찬가지로 지역주민들의 반대가 예상된다. 장암동 현 시설 철거 뒤 신증설하는 것은 지난 2017년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 때 200 톤 이하로 신설은 가능하나 20톤 이상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등 이원화 운영관리로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왔었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당선인 취임 뒤 2026년 수도권직매립금지 등 쓰레기처리 문제점을 비롯해 장암동 시설의 개보수, 자일동 외 다른 곳으로 이전방안 등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고를 하겠다”고 밝혔다.
김동근 당선인은 취임 뒤 전문가,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들으며 종합적으로 분석해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1년 준공한 200톤 처리의 현 소각장은 내구연한 (15년) 이상 사용으로 노후화되고 고발열 폐기물의 반입량이 늘면서 부하율이 상승,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진단돼 이전, 신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