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지역 동네 곳곳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봉투가 길 고양이 등으로 파헤쳐지면서 도시 미관 저해와 악취 문제 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경기도는 음식물 쓰레기봉투(이하 봉투)를 한 곳에 모아놓는 보관용기를 공급 중이나 정작 일선 시·군에선 관리자 지정 문제 등으로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2일 오전 10시께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한 단독주택 인근.
무언가에 의해 뜯긴 흔적이 있는 2ℓ 봉투에서 쳐다보기도 싫은 빨간색 액체가 줄줄 흘러나오고 있었다. 주변에는 10여마리 파리가 꼬여 있어 인상을 절로 찌푸리게 했다.
수원특례시 팔달구 매산동의 한 빌라 앞에서도 비슷한 광경을 찾아볼 수 있었다.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라는 팻말이 무색하게 음식물이 가득 찬 봉투 3개는 곧바로 터질 것만 같아 위태위태했다. 바닥에는 말라붙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어 코를 찌를 듯한 악취가 풍겼다. 군포시 금정동에서도 버려진 봉투 위에 10여마리의 파리가 ‘윙윙’거리며 날아다녔다.
상황이 이런 탓에 도는 지난해 8월부터 총 2억6천여만원을 들여 폐비닐을 재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보관용기’ 사업을 진행 중이다. 사업 참여 의사를 토대로 부천·남양주시 등 총 13개 시·군에 총 2만6천700개의 보관용기를 연내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주민 신청 접수로 이를 배포 중인 일선 시·군은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일례로 A지자체는 집 앞 보관용기로 악취 심화를 걱정하는 주민 반응 탓에 600개 보관용기 중 300개만 보급한 실정이다. B지자체는 보관용기를 씻는 등 관리 문제에 부담을 느낀 주민들이 이를 신청하는 것을 주저한다고 털어놓았다.
고찬석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부위원장은 “보관용기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조사와 홍보를 병행하는 등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권한 문제 탓에 관리자 지정에 대한 지침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보급 활성화 등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