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는 러시아의 국민마저 규탄대열에 동참했다. 권력자들은 권력 유지를 위해 인류의 평화를 짓밟는데, 인생에 무슨 영화를 누리겠다는 것인지, 권력욕이란 그렇게 실현되는 것인지, 국익이 무엇이고, 국가를 지킨다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오늘의 한국도 평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정작 위태로울 수 있는 한국의 평화는 지속 가능한 것인가. 남북관계가 그저 남북만의 문제라면 지혜로 풀어갈 수 있을 텐데, 주변 강대국에 얽혀있어 방도를 찾기가 어렵다. 주변국에 진정한 우방은 없고, 미국은 어찌 보면 먼 곳에 있다.
국가 간 분쟁은 권력자들의 국익을 빙자한 사익 추구에서 초래되고, 강대국의 월등한 군사력 앞에 약소국이 부르짖는 선과 정의는 그저 감상적인 구호가 되고 만다. 약자가 부르짖는 평화에 강자의 대답은 국익을 내세운 폭거이다.
사실 국가권력자들에 의해 벌어지는 국가 간 충돌은 대다수 선량한 국민과는 무관한 일이다. 권력자에 추종하거나 어쩔 수 없이 따라가는 국민이 존재하지만, 어느 나라의 국민도 기본적으로는 선을 추구할 것이다. 국가권력자와 국민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할 이유이다.
국민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 전쟁은 부메랑으로 돌아와 권력자 자신을 몰락시키는 도구로 작용한다. 지구상의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전 세계인의 유대관계가 필수적이다. 우리가 세계의 정보를 얻고 있는 것 같아도 그 속사정까지는 들여다보기 어려워, 주변국에 대해 우리만의 생각으로 과한 반응을 내놓곤 한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별것 아닌 일인데도 온라인상으로는 전쟁이라도 벌이듯 치열하게 다툰다. 애국이라며 자국 중심의 이기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주변국 국민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는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스포츠와 문화, 역사문제에도 마찬가지이다. 국민을 자극하는 정치인들의 어설픈 관여는 안 된다. 국민감정이 권력자들의 폭거를 유발하고 정당화할 수 있다.
역사는 기억하되 주변국과의 관계는 현재와 미래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평화를 거부하고 힘을 매개로 위협적이며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는 주변국에는 부당함을 말하고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정의나 평화를 외치는 것만으로 폭력은 막아낼 수 없다. 자주국방이 모든 외침을 막아주는 전능한 것일 수 없다. 한국의 안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자유민주주의를 지향하는 한미일의 진정한 협력체계 구축 외에 닥쳐올 미래 위협에 대비할 현실적 방도는 있겠는가?
모세종 인하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