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그곳&] "100원? 안 받아" 헛도는 종이영수증 '인센티브제'

환경부가 탄소중립 위해 종이영수증 인센티브를 시행하고 있지만 참여기업은 저조한 상황이다. 14일 오후 수원특례시 한 음식점에서 시민이 결제하고 영수증을 받고 있다. 윤원규기자
환경부가 탄소중립 위해 종이영수증 인센티브를 시행하고 있지만 참여기업은 저조한 상황이다. 14일 오후 수원특례시 한 음식점에서 시민이 결제하고 영수증을 받고 있다. 윤원규기자

전자영수증을 발급받으면 100원을 돌려주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제도가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오전 용인특례시 기흥구의 한 대형 마트. 본보 취재진이 약 50분 동안 계산대를 거쳐가는 손님 30명을 지켜본 결과, 종이영수증을 챙긴 손님은 단 1명에 그쳤다. 나머지 종이영수증 29장은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향하기 일쑤였다. 계산원 김정란씨(56·가명)는 “전자영수증을 발급받으면 일정 금액이 환급되는 제도가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며 “아직까지 전자영수증을 끊어달라고 요구한 손님은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수원특례시 영통구의 대형 마트도 상황은 마찬가지. 해당 마트에서도 결제가 이뤄질 때마다 단말기에선 종이영수증이 튀어나왔지만, 손님들의 ‘버려달라’는 말과 함께 이들 영수증은 쓰레기통에 버려졌다. 종이영수증을 챙겨간 사람은 30분 동안 단 1명도 존재하지 않았다. 더욱이 두 매장은 환경부와 함께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제도를 시행하는 매장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발행된 종이영수증은 약 128억장에 육박했다. 이 때문에 발생한 쓰레기양은 9천358t이 넘는다.

종이영수증 제작을 위해 베어진 나무는 약 12만 그루로 추정되고, 배출된 이산화탄소 양도 2만2천t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같은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부는 지난 1월부터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전자영수증을 등록한 이용자가 해당 제도에 참여한 기업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건당 100원씩 매월 1회 환급액을 정산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선 이용자들이 이 같은 제도를 잘 알지 못하고 있는 데다 참여 기업도 이마트·홈플러스·롯데백화점 등 6개 대형 유통업체에 그치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더욱이 현재 운영되는 포인트 제도로는 당장 다른 업종이나 중소가맹점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되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다. 현행 시스템 상으론 참여 기업이 보유 중인 멤버십 정보를 통해 결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을 뿐 실제 계산이 이뤄지는 POS 기기에서는 정작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탄소중립을 위해 해당 인센티브 제도가 이뤄지는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도 “재원이 확보되는 선에서 홍보 활동과 지원 대상을 확대해 제도의 실효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관계자는 “사업 시행 초기인 만큼 발생하고 있는 시행착오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참여기업의 확대와 함께 중소가맹점 및 소상공인 대상 지원 방안도 내부적으로 논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