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보통리 저수지 관리 엉망…관광객들 불편 호소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은 화성시가 동파방지를 위해 화장실을 임시폐쇄한 모습. 김영호기자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은 화성시가 동파방지를 위해 화장실을 임시폐쇄한 모습. 김영호기자

화성지역 산책· 피크닉 명소인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21일 화성시 등에 따르면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 1955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정남면 보통리 38번지 일원에 면적 7만1천600㎡ 규모 보통리 저수지를 조성했다.

이후 시는 지난 2008년~2009년 21억여원을 들여 보통리 저수지 주변 3㎞ 구간에 나무데크 산책로를 조성,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산책로 내 공중화장실을 동절기 동안 폐쇄하는가 하면 각종 생활쓰레기가 데크와 수면 등에 나뒹구는 등 시의 소홀한 관리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실제 이날 오전 11시께 보통리 저수지 내 공중화장실에는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해 다음달 2일까지 임시 폐쇄한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내걸린 채 닫혀있었다.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보통리저수지 수면에 각종 쓰레기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 김영호기자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보통리저수지 수면에 각종 쓰레기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 김영호기자

이 때문에 산책로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은 화장실을 찾느라 동분서주하는 모습이었고, 일부는 인근 음식점이나 카페 화장실 등을 이용해 업주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특히 한 관광객은 공중화장실 문을 억지로 열려다 여의치 않자 노상방뇨를 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보통리 저수지 주차장부터 동쪽으로 100m가량 설치된 나무데크 변 수면에는 무단으로 투기된 폐트병, 스티로폼 박스, 마스크, 과자봉지 등이 둥둥 떠다니며 쓰레기장을 방불케 했다.

관광객 A씨(38)는 “관광지 주변 공중화장실을 겨울철이라고 폐쇄하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수십억원을 들여 조성한 산책로 주변이 쓰레기로 뒤덮여 있는데 치우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 쓰레기를 구경하러 온 것인지 착각될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최근 관광객이 늘면서 쓰레기 투기가 늘어나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것 같다. 데크 주변 쓰레기 수거에 더욱 신경을 쓰겠다”며 “공중화장실은 지난 16일자로 개방했고 앞으로는 겨울철에도 계속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보통리 저수지 수면에 각종 쓰레기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 김영호기자
화성 보통리 저수지가 관리 엉망으로 관광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보통리 저수지 수면에 각종 쓰레기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 김영호기자

화성=박수철·김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