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그곳&] 방역패스 15일, 현장 혼란 가중…미접종자·자영업자·단속반 모두 '아우성'

29일 오후 1시께 한 손님이 인천 남동구의 한 대형음식점 입구에 있는 ‘백신패스 대상자만 입장 가능’이라는 푯말을 지나서 입장하고 있다. 최종일 기자
29일 오후 1시께 한 손님이 인천 남동구의 한 대형음식점 입구에 있는 ‘백신패스 대상자만 입장 가능’이라는 푯말을 지나서 입장하고 있다. 최종일 기자

정부의 방역패스 도입 2주가 지났지만, 현장의 혼란은 가중하고 있다.

29일 오전 10시께 인천 미추홀구의 한 프랜차이즈 카페 직원은 손님이 들어오자 QR코드를 안내하며, 접종여부를 확인한다. 미접종자인 손님은 홀로 주문한 커피를 받아들고는 위층에 있는 홀로 향한다. 그러나 이 손님이 2~3층에 있는 홀에서 일행과 합류하는지는 알 길이 없다. 카페직원 A씨(28)는 “특히 바쁜 시간대에는 직원이 위층에 일일이 올라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미접종자가 다른 층에서 일행과 몰래 만나도 알 수 없다”고 했다.

이날 낮 12시께 남동구의 칼국수집도 상황은 비슷하다. 점심시간 QR코드 단말기 앞에 손님이 물밀듯 들어오면서 누가 QR코드를 인증했는지 확인조차 어렵다. 식당주인 B씨(40)는 “혼자서 주문받고, 음식나르고, QR코드까지 확인할 수는 없다”며 “미접종자를 거부하진 않지만, QR코드를 확인하기 어렵다보니 방역패스를 위반할까 불안한게 사실”이라고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미접종자 입장을 원천 봉쇄하는 ‘미접종자 거부 식당’도 생겨나고 있다. ‘미접종자 거부 식당 지도’에 올라온 지역 내 식당은 약 60곳이다. 인천 부평구에 사는 미접종자인 C씨(31)는 “미접종자가 무슨 코로나19 바이러스 보균자인 것처럼 혼밥도 못하게 하는 건 너무하다”고 했다. 이어 “결국 밖에서 밥을 먹으려면 방역패스를 잘 지키지 않는 곳을 찾아다녀야 하는데, 우리를 법 위반자로 내모는 것 아니냐”고 했다.

방역패스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는 건 10개 군·구 단속반의 단속 실적에서도 드러난다. 이날 기준 10개 군·구에에서 방역패스 관련 단속 및 적발에 따른 행정처분은 단 2건(강화군·부평구)에 그친다. 한 구 관계자는 “영업시간 제한은 경찰과 함께 현장을 덮치면 되지만, 접종자 여부는 눈에 드러나지 않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현장에 나가 접종자 확인하면 식당 주인의 민원이 만만치 않으니 사실 단속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우주 고려대학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만 골라 감염되는 질병이 아니다”며 “방역패스는 방역실패의 원인을 미접종자에게 전가시키는 행위일 뿐”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이제 방역패스가 혼란만 가중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김지혜·최종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