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장항습지에 이어 김포지역 한강 하구까지 5개월 새 지척에서 ‘지뢰 폭발사고’가 반복(경기일보 11월22일자 6면)되며 주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는 만큼 군과 김포시가 추진 중인 철책 철거작업에 앞서 지뢰 해체를 비롯한 안전조치부터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과거 김포 장릉산 공군기지 주변에는 600개 안팎의 지뢰가 매설됐다. 이 지뢰들은 지난 1984년 폭우로 유실되며 65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후 1994년 군은 지뢰를 해체하는 대신 김포대교~일산대교 사이 군 철책 안쪽으로 이전ㆍ매립했다. 당시 군은 작전상 이유로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뢰 문제는 지난 2003년 일산대교 공사가 시작되며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해 한국대인지뢰대책회의 측은 육군 제17사단 작전처 상황장교에 의해 김포지역 한강 하구에서 나온 지뢰들이 장릉산 공군기지에 있던 것과 동일한 폭발물로 확인됐다면서, 한강이 범람했을 당시 문제의 지뢰들이 유실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후로도 지뢰 해체작업은 없었고 폭발사고는 계속됐다. 최근 2년간 한강 하구에서 지뢰가 터지거나 발견된 사례만 5건이다. 특히 지난 6월 고양 장항습지에 이어 이번 초소 부근 폭발사고까지 모두 김포대교~일산대교 사이 구간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며, 지뢰 유실 가능성을 제기했던 지적에 힘을 싣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군과 김포시는 지난 10일 기념식을 열고 한강 하구 철책을 철거하기 시작했다. 일산대교~전류리포구 8.7㎞, 초지대교~인천시계 6.6㎞ 구간 철책을 철거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그러나 철책이 제거되기도 전에 또 다시 지뢰가 폭발하며, 철거 이후 민간인 통제가 풀릴 경우 사고 재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왕룡 전 김포시의원은 “계속해서 지뢰 폭발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철책 철거를 강행하는 것은 무리”라며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군과 김포시는 지뢰를 발굴하고 해체하는 안전조치부터 먼저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육군 제17사단 수도군단 측은 관련 업무협약에 따라 철책 철거사업의 주체가 김포시로 돼 있는 만큼 시에서 먼저 요청이 들어오면 필요한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현 시점에선 도로변 철책만 제거 중이라 산책로 등을 조성하는 데 안전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만 최근 지뢰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만큼 한강변 쪽 철책을 제거할 땐 군과 별도로 협의를 진행한 뒤 철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양형찬ㆍ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