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왕숙ㆍ왕숙2지구 주민들이 LH 규탄집회를 벌였다.
LH가 주민 토지를 헐값에 강제 수용하고 천문학적인 개발이익을 독점하고 있다는 것이다.
남양주 왕숙ㆍ왕숙2지구연합대책위는 11일 오후 서울 방배동 한국감정평가사협회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이처럼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토지주들을 대표한 이종익 왕숙주민대책위원장과 박광서 왕숙2 주민대책위원장 등을 비롯해 왕숙지구 주민 80여명이 참석했다.
고양 창릉, 광명시흥과림, 성남 서현, 용인 플랫폼시티, 광주 첨단3지구 등 공공주택지구 전국연대 대책협의회 소속 공공주택지구 위원장 20여명도 동참했다.
앞서 LH는 지난 8월 왕숙지구 추진을 위한 토지감정평가에 들어가 10월 납품과 보상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사업시행자인 LH 측과 주민추천 감정평가사 간 감정결과 큰폭의 차이가 발생, 주민들이 이를 거부하면서 해당 절차가 중단됐다.
더구나 LH 측 감정평가사가 LH 출신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주민들은 사업시행자와 지자체, 주민 간 보상협의회를 거부한 채 ▲감정평가 시 재평가 기준을 현행 110%에서 130%로 환원 ▲주변 개발이익과 공시지가 현실화 등 반영 ▲토지강제수용 시 양도세 100% 면제 ▲공공주택지구 주민 지원대책 근거 법률인 공공주택특별법 즉시 개정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이종익ㆍ방광서 위원장은 “LH는 토지보상을 목전에 둔 왕숙ㆍ왕숙2지구에서 LH 출신 감정평가사를 내세워 주민들의 재산을 헐값에 강탈하려 하고 있다”며 “왕숙지구와 전국 공공주택지구 74곳 수용 주민 100만여명은 LH의 불법적이고 부당한 행태에 맞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왕숙지구 주민들은 이번 사태가 LH 땅투기 사태와 대장동 개발사업과 유사한 불공정 사례라며 삭발식을 감행했다.
LH 관계자는 “감정평가는 LH 영역이 아니어서 어쩔 수 없다. 이 부분에 대해선 주민들께 양해를 구하고 있다”며 “LH 출신 평가사 의혹은 오래 전 잠깐 근무한 직원일 뿐 주민들이 주장하는 외압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왕숙신도시는 남양주시 진접ㆍ진건읍과 양정동 1만1천㎡에 1~2지구로 나눠 조성돼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가장 크다. 6만6천가구가 건설될 예정이며 예상 수용인구는 16만명이다.
조광한 시장은 앞서 지난달 신경철 LH 스마트 도시본부장과 만난 자리에서 “땅값이 전국적으로 상승하면서 왕숙지구와 주변도 급등, 원주민과 기업 재정착이 어렵다”며 왕숙지구의 정당한 보상을 요구한 바 있다.
남양주=김동수ㆍ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