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역사문화 예술의 도시?’
이천문화재단이 코로나19 여파로 각종 행사 취소, 시설운영 중단에도 직원들에게 1억원에 달하는 시간외 근무수당을 지급하는 등 예산을 부적정하게 집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을 내세우며 이천시를 역사문화 예술의 도시로 만들겠다는 이천문화재단의 의지가 빛이 바래질 수 있어 시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28일 이천시와 이천문화재단에 따르면 시는 올해 초 80억여원을 출연, 이천문화재단(이하 재단)을 설립했다. ‘시민과 함께 역사문화 예술의 도시 이천구현’을 비전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공예부문 창의도시 이천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서다.
재단은 이사와 사무국장 등 직원 34명으로 구성돼 문화시설 관리ㆍ운영과 이천의 대표 문화축제 등을 주관하고 지역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정책 개발, 활동 지원, 교육 등을 수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로 도자기축제와 쌀문화축제 등이 취소되는 등 대다수 문화예술행사가 열리지 못했는데도 직원들에게 지난 1~8월 9천427만원의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됐다.
이는 임직원 34명 대부분이 매일 시간을 초과해 근무했다는 것인데 각종 행사 및 프로그램이 취소된 상황에서 초과근무 수당을 부적정하게 지급했다는 의혹이 나온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지난 7월 재단이 담당하는 자동차극장 운영이 전면 중단됐는데도 지난달부터 연말까지 자동차극장 운영 및 유지관리 용역(2천124만원)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돼 운영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또한 재단은 출범한 지 10여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기존에 사용해오던 이천아트홀 홈페이지를 수정해 임시 홈페이지로 사용하면서도 홈페이지 관리비용으로 1천27만원을 지급했고, 홈페이지 구축제안 평가위원회 수당으로 210만원을 지급했다.
지역 문화예술인 A씨는 “코로나19로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이들을 지원해야 하는 재단이 예산을 부적정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된다”고 비난했다.
이천시민 김정숙씨는 “이천문화재단 등 시 유관기관은 시민들의 위한 사업에 최우선해야 한다”며 “투명하게 재단이 운영될 수 있도록 시에서도 관리 감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재단 관계자는 “직원 시간외근무수당 부적정 지급문제 등은 정보공개를 청구해 확인하라”며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천=김정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