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시화호 옛 뱃길복원ㆍ관광유람선 운행사업을 추진 중이나 관련 법률 제정ㆍ시행에 따른 절차문제 등으로 차질이 우려된다.
특히 관광유람선 엔진부분을 친환경으로 변경하면서 유람선 척수와 규모 등의 축소로 관광객 유치가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안산시에 따르면 시는 국비 10억원을 포함해 모두 70억원을 들여 시화호 옛 뱃길 복원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지난 2017년 시화호 내 뱃길 20㎞에서 안정성 검토 등을 위한 시험운항을 진행했다.
시는 이어 지난 4월 시화호 옛 뱃길에 친환경 에너지로 운행하는 관광유람선을 띄울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유람선 운항 관련 승인이 지연되면서 다음 달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8년 12월 환경친화적 선박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뒤 지난해 1월 해당 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운항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해당 법률이 선박을 환경친화적으로 개발하라는 내용을 담았기 때문이다.
시는 애초 자전거를 포함, 모두 50명이 승선할 수 있는 규모의 내연기관(연료 휘발유) 선박 3대를 30억원을 들여 건조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당 법률에는 공공기관이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환경친화적 선박으로 개발하고 보급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관광유람선 엔진이 내연기관에서 전기충전(배터리) 방식으로 변경됐다.
이로 인해 애초 관광유람선 3대를 축조하기로 했던 시는 유람선 1대 축조 예산 18억원(충전시설 4억원 별도) 등 예산문제 등으로 유람선 1대만 건조키로 했다.
관광유람선 규모도 애초 승선인원을 50명으로 설정했으나 40명으로 줄여 운항횟수와 관광객 유치 등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람선 1대만 운영하면 1회 운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관광객들의 대기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우려돼 대안마련도 요구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엔진 부분이 환경친화적으로 변경돼 사업이 축소된 건 아쉽지만 수질오염 방지 등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관광유람선 규모나 척수가 줄어든 것과 관련,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