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용정폐수처리장 폐수유입률 30%대…부족분 시 예산으로 메꿔

포천 용정폐수처리시설 폐수유입량이 환경부 기준 30%대 그쳐 시가 매년 폐수처리비 부족분 수억원을 부담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12일 포천시에 따르면 용정산단 내 용정폐수처리시설은 하루 2천300t 처리규모로 지난 2018년 하반기부터 가동됐다. 당시 용정산단 분양률은 60%대였고 공장가동률도 낮아 폐수유입량이 환경부 기준의 30%대에 그쳤다. 이 때문에 폐수처리비용으로 지난 2018년 1억7천만원, 지난 2019년 3억여원, 지난해 3억여원 등이 시 예산으로 지급됐다.

시는 이에 지난 2019년부터 미분양 부지에 대해 폐수발생량이 많은 공장부터 계약우선권을 주겠다는 대책을 세워 폐수발생량을 늘리려고 했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폐수유입량을 늘리기 위해 여러 방안을 강구했지만 한계가 있었다. 애초부터 환경부 고시기준이 너무 높게 책정됐다. 현재 용정산단 내 가동 중인 공장 대부분은 환경부 고시기준보다 폐수배출량이 평균적으로 2배 이상 적다”고 말했다.

실제 용정산단에 입주한 공장 81곳(분양은 121곳) 중 폐수 발생 공장은 14곳, 오수만 발생하는 공장 65곳 등이 폐수처리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문제는 30%대에 머무는 폐수유입량이다. 시는 아직 입주하지 않은 40%가량 공장이 가동되고 연계된 인근 400여세대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되면 폐수유입량이 80%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입주 예정 공장들의 폐수발생량은 적고, 아파트 입주 후 발생하는 생활하수도 폐수처리시설 가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전문가 A교수는 “환경부가 현실에 맞게 오염부하량을 개정해야 예산낭비를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폐수유입량 부족에 따른 비용부담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