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는 기억되어야 하고, 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데 함께 나가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7주기인 16일 희생자를 추모하는 기억식이 오후 3시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열렸다.
1부 기억식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영상메시지를 통해 “세월호 고통 속에서 안전의 중요성 깨달았다”며 “정부는 반드시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추도사에 나선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는 진실이 규명되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라며 “4·16생명안전공원 조성에도 아낌없이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추도사에서 “다시는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저버리지 않도록, 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그날까지 한 발 한 발 나가야 한다. 그것이 살아남은 우리의 숙제”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4ㆍ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행정안전부ㆍ교육부 등 정부가 주관하는 추모식에 5년 만에 함께했다.
유가족들은 7년 전 시간에 멈춰 있었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7년 전 못난 엄마 아빠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저 바다만 바라보고 무기력했던 그날, 이런 엄마 아빠를 용서해라”고 흐느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내년 8주기에는 피해자 가족은 물론 모든 이들이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을 외치지 않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기억식은 4·16합창단이 부른 기억 합창 ‘너’에 이어 4시16분 1분간 울린 추모 사이렌과 함께 끝났다.
2부 행사에서는 4·16생명안전공원 선포식이 이어졌다.
4·16생명안전공원은 화랑유원지 내 2만3천여㎡ 부지에 국비와 지방비 453억원을 들여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조성 중이다. 4·16 희생자 추모시설과 문화·편의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