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은 광릉숲에서 최대 최고의 자생 밤나무가 자라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광릉숲의 자연림 내 밤나무 추정 수령은 350년이다. 기저 둘레 456㎝, 기저 직경 145㎝, 수고 14m 등이다. 산림 내에서 확인된 가장 크고 오래 된 밤나무로 2008년 평창 운교리 밤나무(추정 수령 370년, 기저 둘레 640㎝, 수고 14m)가 천연기념물 제498호로 지정된 후 국내에서 두 번째 오래된 밤나무로 기록됐다.
국립수목원은 앞으로 보호수 지정을 통한 소중한 수목자원 보존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국내 자생 밤나무류는 밤나무, 밤나무와 중국밤나무의 교잡종으로 추정하는 약밤나무 등 2종이 있다. 토종 밤나무는 과거 밤나무혹벌 피해 및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의 대량 보급으로 거의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중요 산림 소득 수종으로 재배해 이용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국내 산림에서 자생하는 흉고 직경 1m 이상의 큰 나무는 286개체로 파악하고 있다. 광릉 숲 밤나무는 이 중 15번째로 큰 나무이다. 낙엽 활엽수 215그루 중 12번째, 참나무과 109그루 중 7번째인 초대형 밤나무이다. 광릉숲에는 흉고 직경 1m 이상의 큰 나무가 모두 4개 수종(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10개체 자라고 있다.
김재현 국립수목원 광릉숲 보전센터장 연구관은 “광릉숲은 큰 나무들이 다수 자생하는 국내 산림생물 다양성 핵심 지역이다. 더 세밀한 변화관찰을 통해 관리와 보전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