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대부동의 대부면 전환을 추진 중인 가운데, 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각종 세금 감면과 농어촌특별전형 혜택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도시계획 변경으로 공장 설립 등이 가능해져 녹지가 훼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31일 안산시에 따르면 윤화섭 시장은 최근 전해철 행안부 장관을 방문, 대부동의 대부면 전환을 건의했다.앞서 시는 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비, 부서별로 검토에 나섰던 것으로 파악됐다.
행정단위가 동(洞)에서 면(面)으로 바뀌면 재산세 등이 인하되고 전원주택 건폐율도 현재 20%에서 40%로 상향 조정된다. 농어촌지역에 따른 특별전형 혜택은 물론 학생들의 수업료 인하 혜택도 가능하다.
반면, 도시지역에서 비도시지역 변경요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도시계획 변경요건도 발생, (동 단위에선 불가능했던) 공장 건립도 가능해져 녹지와 경관 훼손도 우려된다.
시는 앞서 지난 1998년 기본계획 수립 당시 대부도 전역을 도시지역으로 구획한데 이어 지난 2010년 도시기본계획 수립시 대부도 2천600여㎡를 시가화 예정지로 개발, 인구 3만9천명을 목표로 해양레저관광단지는 물론 독립생활권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주민들은 지역의 미래를 감안,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동이 면으로 전환되면 대부도 지역개발의 기본ㆍ관리계획 정비방향과 배치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부동 주민 A씨(62)는 “(동에서 면으로 바뀌면) 농어촌지역에 따른 특별전형 혜택은 물론 학생들의 수업료 인하 혜택도 가능해진다”며 반겼다.
또 다른 대부동 주민 B씨(59ㆍ여)는 “인근 화성이나 평택 등지처럼 공장 설립이 가능해져 녹지와 경관 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그 동안 대부도가 농어촌지역인데도 도시지역으로 결정돼 세금ㆍ교육분야에서 역차별을 받아와 면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