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시의회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만든 ’의회업무추진 매뉴얼’(매뉴얼)이 되레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시의회 요청으로 집행부 담당 공무원이 현장을 방문하거나 연구모임 등에 참석할 경우 처리 결과 제출을 명시한 데서 비롯됐다.
이 매뉴얼이 만들어진 건 지난해 10월이다. 취지는 명쾌했다. 소통창구 일원화와 협력체계 강화를 통한 효율적 시정 운영이다.
이는 시의회가 그동안의 의정활동 과정에서 과도한 자료 제출요구는 물론 빡빡한 의사ㆍ회의일정과 민원현장 방문시 동행요청부터 의원연구모임에 이르기까지 담당 공무원의 참석요구에 대한 입장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시의회는 집행부의 이 같은 매뉴얼 제정과 관련, 최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의장단 차원에서 대응키로 했다. 특히 시의회는 집행부가 매뉴얼을 만들면서 대상이 시의회인데도 지난 5개월 동안 공식적으로 협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최근에야 집행부에 요청, 자료를 제출받아 알게 됐다며 이는 시의회를 경시하는 게 아니냐고 날을 세우고 있다.
시의회의 으뜸 권한은 집행부 감시와 견제 등을 통한 시민의 알권리 지키기다.
하지만 시의회의 이 같은 권한이 자칫 왜곡돼 투영된다면 시민들의 기대에 어긋날 수도 있다.
이번 매뉴얼이 만들어진 배경은 집행부 내부에서 결정된 바 없는 내용을 공직자가 집행부의 공식 입장인 것처럼 전한데서 비롯됐다는 후문이다.
그렇다면 시도 매뉴얼 제정에 앞서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내부에서 결정된 바 없는 사안에 대해선 먼저 신중하도록 권고했어야 한다.
이처럼 집행부와 의회의 갈등으로 인해 코로나19로 힘들게 살고 있는 시민들이 피해를 입는 일만큼은 없기를 바란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