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ㆍ시의회 "학대 의심사례 많아...아동보호 전담기관 시급"

지난해 10월, 양천 입양아동 학대 사망사건(일명 정인이 사건) 이후 정부차원에서 아동학대 대응책 논의가 구체화하고 있는 가운데 포천시도 아동보호 전문기관 설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포천시와 박혜옥 시의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북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포천지역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190건으로 이중 학대의심 사례가 175건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258건보다는 다소 줄어든 수치지만, 경기북부 아동보호전문기관 담당 의정부와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등 5개 시ㆍ군 아동인구 대비 포천시가 가장 높은 수치다.

박혜옥 의원은 시정 질의에서 “포천시의 아동학대 사례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대비한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설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심창보 부시장은 “아동학대 사례가 심각하다고 보고 지난 2월 초 보건복지부에 학대피해아동 쉼터 설치를 신청했으며, 시 차원에서도 아동보호 전담팀을 구성, 기구 출범을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아동보호 전담기관 설치와 운영은 시와 시의회가 공동노력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지적은 전담기구 설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최근 구리시에서는 자체 아동보호 전문기관 운영을 위한 선행조치로 아동보호 전문기관 설치와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채용에 관한 조례를 개정, 오는 9월부터 자체 아동보호 전문기관을 운영하기로 했다.

아동피해상담전문 A 교수는 “학대 아동에 대한 신속한 보호 및 지원 조치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아동보호 전담기관 설치는 늦출 수 없는 사안으로 시와 시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서면 언제든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