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메디컬시티 조성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도 주도하고, 새로운 도약의 계기도 만들어야 합니다”
정동선 시흥도시공사 사장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선 디지털시대를 뛰어 넘는 뛰어난 아이디어와 콘텐츠가 축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정책토론회를 마련하게 된 계기는.
A. 시흥시가 지난해 인구 50만 규모의 대도시로 진입한 이후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임병택 시장과의 공감대가 있었다. 이를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폭넓은 의견을 듣기 위해 정책토론회를 마련하게 됐다. 올해 시흥시 도시개발 관련 주제인 ‘바이오메디컬시티’ 공론화의 힘찬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Q. 정책토론회가 어떠한 자리가 됐으면 하는지.
A. 시흥 바이오메디컬시티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받는 자리다.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스마트한 바이오메디컬시티가 추진될 수 있길 바란다. 공론화의 첫걸음인만큼 자유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길 기대한다.
Q.오늘 토론 주제에 대한 의견은.
A.서울대학교 병원 설립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시흥시의 입지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가 개발정책에 대한 제약이 많아 향후 정부와 국회, 경기도와의 협력체계 구축이 관건이다.
Q.인구 50만 대도시로 진입한 시흥을 위해 시흥도시공사에게 주어진 역할 혹은 임무가 있다면.
A.시흥도시공사는 개발사업의 실행조직으로 효율적 사업화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개발이익의 선순환 구조 확립에 최선을 다하고, 개발이익의 구도심 재분배를 통한 투트랙 상생방안 추진을 계획 중이다.
Q.시흥도시공사가 출범한지 1년이 넘었는데, 앞으로의 행보에 주목할만한 점이 있다면.
A.신생 조직인만큼 주택사업과 대행사업 등을 통한 적정수익 창출로 지속성 확보, 시흥광명특별관리지역의 적극 참여로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추진 등 이 두 부분을 주목할만 하다.
Q.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적극적인 개발사업 발굴과 시흥시와의 협력으로 지역사회 기여에 최선을 다하겠다. 향후 이어질 정책토론회를 통해 시흥시 도시정책에 적극 협조하겠다. 마지막으로 주민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의 장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
시흥=김형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